반응형

Relationship between Clinic and Ambulatory Blood-Pressure Measurements and Mortality

NEJM 논문입니다



Introduction

24시간 혈압 측정은 병원에서 재는 혈압보다 일중 혈압 변동을 더 포괄적으로 평가하고 health outcome을 더욱 잘 대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기존의 연구는 24시간 혈압측정, 병원 혈압 측정, white coat hypertension, masked hypertension 등의 임상 결과의 차이를 도출하지 못하였으나, 이 연구는 다양한 혈압 측정 차이의 사망률과 심혈관계 예후 지표로서의 가치를 평가한다.

Method

-       Study population: Spanish Ambulatory Blood Pressure Registry에서 18세 이상이며, 24시간 혈압을 재는 적응증에 해당하는 환자군 (white coat hypertension, refractory or resistant hypertension, high-risk hypertension, labile or borderline hypertension, 고혈압 약효 확인, circadian blood-pressure patent 확인을 위한 연구 등) – Table 1

-       혈압 측정: 표준화, 자동화된 oscillometric device 사용하여 5분 휴식 후 측정. 주간에는 20분 간격으로, 야간에는 30분 간격으로 측정.

-       환자 정보: 각 의료시설에서 의무 기록을 통해 physical examination, clinical record 확보

-       Mortality Data: 스페인 국가통계기관에서 생존 여부, 사망 일시 확인. 연구에는 cardiovascular origin death를 모두 포함시켰으며, 이 중 ischemic heart disease/heart failure인 것을 세분화하여 표기.

-       기간: 혈압 측정에 최초 등록된 시점부터 (2004 3 1일 이후) 2014 12 31일까지

-       통계 분석: 고혈압 표현형은 4가지로 분류하였다 (white coat hypertension, masked hypertension, sustained hypertension, normotension). 고혈압과 사망률의 관계는 Cox model을 사용하여 hazard ration, 95% CI로 표현되었다. 고혈압 표현형에 따라, BP 1SD 증가할 때마다 사망률의 증가를 측정하였고, reference group은 혈압이 정상인 그룹으로 설정하였다.

Cox model 1: 나이, 성별, 흡연 유무, BMI, DM, dyslipidemia, cardiovascular disease history,고혈압 약제 사용 개수 등을 사용하여 보정.

Cox model 2: 측정된 혈압의 독립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진료실에서 잰 혈압을 24시간 측정한 혈압으로 보정하였고, 24시간 측정한 혈압은 진료실에서 잰 혈압으로 보정하였다. 주간 혈압은 진료실과 야간 혈압으로 보정하고, 야간 혈압은 진료실과 주간 혈압으로 보정하였다. 고혈압 각각의 표현형에 따른 Hazard ration는 진료실 혈압으로 보정되었다.

또한 혈압이 1SD 상승할 때마다 동등한 mortality rate를 가지기 위한 시간(chronological age)를 계산하였다.

Sensitivity analysis가 시행되었다. SPSS를 사용하여 통계 처리를 하였다.

Results

추적 관찰 중 (중간값: 4.7) 63,910 3808건의 사망이 있었다. 이 중 1295건은 cardiovascular cause였고 그 중 440건은 IHD, 291 stroke, 123 heart failure에 기인한 것이었다.

진료실 혈압과 24시간 혈압은 대개 일치하는 경향을 보였고(moderately concordant, correlation coefficient 0.57 for systolic, 0.70 for diastolic),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인자로 보정한 혈압 수치는 mortality(cardiovascular origin 외에도 다른 원인 포함)와 상당한 연관성을 보였다. 하지만 진료실 혈압의 경우 24시간 혈압으로 보정하였을 때는 mortality 예측력이 떨어졌다(모든 사망의 HR은 보정 전 1.54, 보정 후 1.02). 이와 반대로 24시간 혈압은 진료실 혈압으로 보정하여도 큰 차이가 없었다(보정 전 후 모두 HR 1.58). 심혈관계 위험 인자로 층화 분석한 결과도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원인이 확실한 심혈관계 유발 사망(IHD, stroke, HF)의 경우 24시간 수축기 혈압이 더욱 강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Cox model 1 24시간 측정한 혈압이 진료실 혈압보다 더 나은 통계적 차별(discrimination)을 보였다. 예측력도 24시간 혈압을 포함한 모델이 더욱 좋았다. 진료실 측정 혈압을 24시간 혈압 데이터로 보정하였을 때, mortality와 수축기 혈압간의 관계에 대한 예측력과 차별화가 더 좋아졌다. 하지만 24시간 혈압을 진료실 혈압으로 보정하였을 때에는 변화가 거의 없었다. 이완기 혈압과 mortality의 상관관계에 있어서는 진료실 혈압을 24시간 혈압으로 보정하였을 때 차별화가 개선되지 않았다.

모든 고혈압 표현형을 평가해 보았을 때 masked hypertension all-cause mortality와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고, 가장 높은 위험도를 보였다(HR 2.83). 이와 비교하여 sustained hypertension HR 1.80, white-coat hypertension HR 1.79 였다. 치료를 받은 환자군의 결과는 치료 받지 않은 환자군과 유사하였다. 보정 후의 누적 사망률에서는 masked hypertension이 가장 강력한 위험 예측인자였다.  Masked uncontrolled hypertension controlled hypertension 군과 비교되었을 때 모든 사망에 대한 HR 2.61(CI 2.14-3.17), 심혈관계 원인에 의한 사망은 HR 2.48이었다.

진료실의 수축기 혈압이 1SD 증가할 때마다 증가하는 사망률을 시간으로 계산하면 1.4년의 노화로 환산되었는데, 24시간 혈압이 1SD 증가할 때마다는 8.5-10.2년의 노화로 환산되었다. Masked hypertension이 가장 긴 rate advancement period와 관련이 있었다. 치료 받는 환자군에서 rate advancement period가 조금 적었고, cardiovascular mortality에 대한 결과값은 비슷하였다.

모든 사망에서 가장 많은 분율을 차지한 고혈압 표현형은 sustained hypertension(7.9%), 그 다음은 masked hypertension(1.9%) 였다. 치료를 받지 않은 환자군에서 비율을 계산하였을 때 비율은 거의 두 배로 올라갔다. 하지만 cardiovascular death의 분율은 비슷하였다. 진료실에서 조절되는 혈압 중에서는, Masked uncontrolled hypertension이 모든 원인의 사망에서 33.3%를 차지하였다.

Discussion

24시간 측정 혈압이 진료실 혈압보다 모든 사망률 그리고 심혈관계 사망률을 더 잘 예측하는 인자였다. 또한 masked hypertension이 모든 사망, 심혈관계 사망과 더욱 강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하지만 모든 사망과 심혈관계 사망에서 더욱 높은 분율을 차지한 고혈압 표현형은 sustained hypertension이다. Cox model1은 심혈관계 사망률의 통계적 차별화에 적합한 모델이었지만, 모든 사망을 통계적으로 차별화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았다(아마 통계에 포함된 심혈관계 위험 인자가 전체 사망률에 더욱 기여하는 것 같다). Model 2에서 24시간 혈압으로 보정한 결과가 심혈관계 사망보다는 전체 사망률의 차별화를 개선하는 것은 아마도 model1이 심혈관계 사망률을 충분히 예측하기 때문일 것이다. 24시간 혈압과 모든 사망률의 연관성은 주간 혈압, 야간 혈압, 진료실 혈압을 포함한 다변량 보정(multivariate adjustment)을 하였을 때에도 결과가 같았다.

본 연구에서 이전의 연구와 차별화되는 점은, sustained hypertension보다 masked hypertension의 사망률이 지속적으로 높다는 점을 발견했다는 것이다. 이는 이 환자군에서 진단이 늦어지고 치료가 늦어져 고혈압에 기인한 신체 손상이 더 많이 나타나기 때문일 수 있다. 이전 연구에서는, white coat hypertension이 정상 혈압과 비슷한 위험도나 약간 높은 위험도를 보였지만, 본 연구에서 white-coat hypertension은 정상 혈압에 비해 확실히 더 높은 위험을 보였고, 24시간 혈압도 더 높은 편이었다. 치료를 받은 표현형의 경우 사망률과 더 약한 연관성을 보였는데, 이는 치료와 중재의 효과로 생각될 수 있다.

Masked uncontrolled hypertension subpopulation(treated hypertension + controlled clinic blood pressure who died)에서 높은 사망률을 보였지만, 전체 코호트 population중 사망자에서는 낮은 분율을 보였는데 이는 첫 번째 군(subpopulation)에서 masked uncontrolled hypertension의 수가 훨씬 많기 때문일 것이다. Rate advancement period masked uncontrolled hypertension의 임상적 의의를 가장 잘 설명하는데, 50살이고 masked uncontrolled hypertension인 경우 정상 혈압보다 14살 더 나이를 먹은 만큼 사망률이 높음을 보여준다.

Limitation

진료실 혈압이 오직 매 방문에서 두 번 잰 혈압의 평균이기 때문에 진료실 혈압이 원래 혈압보다 더 높게 나왔을 수 있다(반복해서 잴수록 혈압이 낮아지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는 임상 현실더욱 잘 반영하는 연구일 수도 있다.

유사한 한계점으로, 24시간 혈압이 각 환자에서 단 한번의 시점에 측정되었기 때문에 예측력(prognostic power)이 떨어질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두 번 24시간 혈압을 잰 환자들을 대상으로 reproducibility analyses를 진행하였을 때, 24시간 혈압은 각각의 측정에서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이 연구의 또다른 한계점은 24시간 혈압을 두 번 잰 환자들을 제외하고는, 추적 관찰 기간 동안에 복용한 약에 대한 정보가 없다는 것이다. 하지만 약물 정보가 있는 환자군들을 보았을 때 연구와 연관성이 있는 변수들이 약물 복용에 따라서 차이가 있지 않았다.

세 번째로, 24시간 혈압을 잴 필요가 있는 환자들을 모집하는 과정에서 selection bias가 있었을 수 있다. 하지만 본 연구에 포함된 환자군들의 심혈관계 위험 인자들은 다른 연구의 환자군과 비슷하다.

네 번째로, 이 연구는 혈압의 예후 인자로서의 유효성에 대한 관찰 연구로, 24시간 혈압 관리가 치료의 목표로 적합하다는 직접적인 상관관계는 도출할 수 없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인구 집단은 백인으로, 다른 인종에서는 결과가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에서 24시간 혈압, 주간 혈압, 야간 혈압은 진료실의 혈압보다 모든 사망률과 심혈관계 사망률을 더 잘 예측하였다. Sustained hypertension, white coat hypertension, masked hypertension은 모두 높은 사망 위험도와 관련이 있었고, 이 중 사망과 가장 강력한 연관성을 보였던 것은 masked hypertension 이다.

 


반응형

WRITTEN BY
분홍오리
배우고 싶고 나누고 싶은 밍밍이 건강, 의학 지식과 정보를 공유합니다

,
반응형

1. 정의

성인에서는 고혈압이 수축기 혈압 140 이상, 이완기 혈압 90 이상으로 정의되지만 소아에서는 또래와 비교해 보았을 때 일정 90-95 백분위수 (쉽게 말해 혈압이 위에서 5-10% 안에 드는 것) 일 때 고혈압 전단계로 정의하고, 95 백분위수 이상 (쉽게 말해 위에서 5%)일 때 소아 고혈압으로 간주한다. 위에서 1-4%는 1단계 고혈압 (stage 1 hypertension)이라고 정의하고, 즉 1단계 고혈압은 95-99 백분위수 (percentile)이고, 상위 1%는 2단계 고혈압 (stage 2 hypertension)으로 분류한다.

하지만 병원에서 측정할 시 (성인도 마찬가지이지만) 여러 이유로 높게 측정될 수 있으므로 한 번 혈압이 높게 나왔다고 소아 고혈압으로 무조건 진단할 수는 없다. 집에서, 평소에도 간헐적으로 측정 시 지속적으로 고혈압 기준에 해당하는지 확인해야한다.

(정말 막말로 미친듯이 뛰어놀다가 와서 혈압을 재면 혈압이 높게 나올수밖에 없다. 5분 이상 안정을 취했는지, 카페인을 섭취했는지 등을 확실히 해야한다.)

 

2. 원인

고혈압은 본태성 고혈압 (primary hypertension or essential hypertension)으로 분류된다. 2차 고혈압이란 고혈압이 다른 질병 또는 다른 원인으로 인해 나타나는 경우이다. 성인에서는 본태성 고혈압이 대부분이지만 소아에서는 특정 유발 요인에 의해서 생기는 이차성 고혈압이 더 많다.

2차성 고혈압의 원인으로는 신질환, 내분비 질환, 신경계 원인, 심리적 원인, 혈관 질환, 약물 등이 있을 수 있다.

신질환에는 신우신염, 신장 실질의 질환, 선천 기형, 역류 신장병증, 급성 사구체신염, Henoch-Schonlein 자반증, 신장 외상, 수신증, 용혈 요독 증후군, 신장 결석, 신증후군, Wilms 종양, 신형성 부전, 다낭 신장 등이 있다.

내분비 질환에는 갑상샘 항진증, 선천 부신 과다형성 (congenital adrenal hyperplasia), 쿠싱 증후군(Cushing syndrome), 원발 고알도스테론증, 원발 부갑상샘 항진증, 당뇨병, 고칼슘혈증, 갈색세포종 (pheochromocytoma) 등이 있고 이 중에 신질환이 가장 많다.

신경계 원인으로는 뇌종양, 뇌출혈, 뇌외상, Guillain-Barre 증후군 (길랑바레증후군) 등이 있다.

심리적 원인은 말 그대로 스트레스와 불안이다.

혈관 질환으로는 신장 동맥 이상, 신장 정맥 혈전, 대동맥 축착, 다카야스 동맥염, 신장 동맥 혈전, 모야모야병이 있다.

약물로는 스테로이드, 교감신경 흥분제, 경구 피임약, 코카인, 니코틴, 카페인, 중금속 중독 (수은 납) 등을 복용시 고혈압이 나타날 수 있다.

본태성 고혈압은 주로 1단계 고혈압 (95-99 백분위)인 경우가 많고, 과체중이나 고혈압의 가족력을 가진 소아에서 많이 보인다. 우리나라에서도 소아 비만 등 먹을것이 너무 풍족해지는 상황 덕에 원발성 고혈압이 증가중인 추세이다. 원발성 고혈압은 성인에서와 비슷하게 단독으로 오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대사 이상이 합병되어 나타날 수 있다. 예를 들면 대사 증후군, 당뇨 등이 그 예가 되겠다.

대사 증후군에서는 복부 비만, 고혈압, 인슐린 저항성, 중성 지방 증가, HDL 콜레스테롤의 감소 등이 같이 나타난다.

 

3. 임상 증상

원발성 고혈압은 대부분 무증상이다. 이차성 고혈압을 가진 소아도 혈압이 지속적으로 높거나 갑자기 올라가지 않는 이상 뚜렷한 증상을 나타내지 않는다.

고혈압 뇌증의 증상은 두통, 구토, 체온 증가, 시력 장애, 운동 실조 (ataxia), 의식 저하, 영상검사상의 이상 (CT 등), 경련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소아는 다리의 혈압이 더 높은데 다리 혈압이 더 낮을 경우 대동맥 축착 (coarctation of aorta)를 의심해야한다.

 

4. 검사

일반 혈액 검사 (CBC, complete blood count), 소변 검사, 소변 배양, 혈청 전해질 (특히 혈청 포타슘 측정), BUN, Creatinine, 공복 혈액 지질, 혈당, 신초음파 검사 (좌심실 비대 유무를 평가해야하는데, 좌심실 비대는 표적 장기 손상, 즉 target organ damage를 나타내는 가장 흔한 징후이다.) 등을 시행한다.

필요시 추가적으로 혈장 renin, 신장의 동위 원소 스캔, 신도플러 초음파 검사, 심혈관 조영술, 혈장 및 소변의 카테콜아민, 스테로이드 검사 등을 시행한다.

 

5. 치료

고혈압 전단계 (prehypertension)나 무증상 1단계 고혈압 소아는 생활 습관의 개선, 즉 식사 조절과 규칙적 운동, 비만아일 경우 체중 감량이 중요한 치료이다.

하지만 생활 습관 개선으로도 좋아지지 않는 고혈압은 약물 치료를 병행해야한다. 약물 치료는 한 가지 약을 최소량부터 시작하여 원하는 혈압으로 4-8주 이내에 떨어지지 않을 때 증량하는 방식으로 시작한다. 최대 용량을 써도 혈압이 줄어들지 않는 경우에 다른 종류의 항고혈압제를 추가로 사용할 수 있다.

소아에서 사용하는 항고혈압제로는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 (ACE inhibitor), 안지오텐신 수용체 차단제 (ARB), 베타길항제 (BB), 칼슘 통로 차단제 (CCB), 이뇨제 등이 있다.

치료의 목표는 고혈압이 아니도록, 즉 95 백분위수 이하로 감소시키는 것이다. 하지만 당뇨병이나 만성 신질환 또는 표적 장기 손상이 진행중인 경우 더욱 엄격하게 혈압 관리를 해야하고, 혈압을 90 백분위수 이하로 낮추어야한다.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 (ACEI) 또는 안지오텐신 수용체 차단제 (ARB)는 당뇨나 단백뇨가 있는 환자에서 선호되며, 베타 길항제(BB)나 칼슘 통로 차단제(CCB)는 편두통이 있는 환자에서 선호된다.

신혈관 협착 등으로 인한 고혈압인 경우 수술이나 시술로 치료될 수 있다. 신혈관 질환이 의심될 경우 레닌 안지오텐신 축에 작용하는 약은 사구체 투과 속도를 낮추고 오히려 신부전을 가속화시키므로 금기이다.

간혹 고혈압이 매우 심하여 심부전, 신부전, 뇌증 뇌부종, 경련이 있을 수 있는데 이 때는 응급 치료를 필요로한다. 이 때는 정맥 내로 항고혈압약제를 주사하게 되는데 너무 급작스럽게 혈압을 낮출 시에 장기 (organ) 관류에 지장을 줄 수 있으므로 차차 떨어뜨린다. 첫 한 시간동안 혈압의 10%, 다음 3-12시간동안 15%를 더 떨어뜨리는 것을 목표로 하고, 약제로는 labetalol, nicardipine, sodium nitroprusside 등이 사용된다.

 

반응형

WRITTEN BY
분홍오리
배우고 싶고 나누고 싶은 밍밍이 건강, 의학 지식과 정보를 공유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