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학생 때 응급실 턴이나 수술방 턴을 정할 때, 나는 항상 피를 보지 않는 쪽을 택하려고 애썼다

다친 사람들은 보는 것, 상처를 보는 것 자체가 스트레스를 주었기 때문이다

인턴으로서 응급실에서 근무할 때에도 나는 다친 사람들을 보기를 꺼렸고, 다른 일을 하며 위기를 넘기곤 했다.

나는 매우 감수서이 풍부한 사람이고, 그렇기 때문에 의사라는 직업에 걸맞지 않는다고 생각을 했다

 

그러나 인턴 생활을 하면서 노출을 피할 수 없는 순간들이 오기도했다

썩은 발가락을 소독하는 작업, 잘린 발을 보고 세척하는 일, 반은 잘리고 반은 썩어 문드러진 손을 소독하는 일들...

이전만 해도 상상할 수 없는 일인데, 이제는 척척 일을 해내는 나를 보며 오묘한 느낌이 들었다

의사로서 성장하는 것은 마음이 돌처럼 굳는 일인지 문득 생각이 들었다

 

썩은 사지를 소독하기 전에 붕대를 벗기는 일은 매우 두려움이 고조되는 일이다

한 번도 보지 못한 환자의 소독은 더더욱 그렇다

얼마나 징그러울지, 병실에서 소리를 지르면 어떡하나 생각하는 순간, 붕대와 함께 사지를 감싸던 솜이 뭉텅 벗겨져나갔다

일부는 뼈가 드러나고 일부는 이미 잘려나갔으나 미처 희망을 놓지 못한 까만 손가락이 드러났을 때,

마음이 철렁하기는 커녕, 비현실적이고, 흥미롭고, 마치 미이라 같다고 생각이 들었다

 

보기 싫은 것을 치우듯이 슥슥 소독을 하고 다른 업무를 보고 있을 무렵

부모님으로 추정되는 늙은 남성이 와서 내가 소독한 환자의 붕대에 싸인 팔을 붙잡고 흐느끼고 있었다

그제서야 내가 소독을 하던 사람의 나이가 채 40이 안되었다는 사실을 실감했다

부모님의 슬픔 속에서 아주 잠시동안, 상실감과 애석함에 공감하며 나는 유유히 병실을 빠져나왔다

 

누군가는 단 1초도 마주하고 싶지 않은 현실을을 계속 마주하며 덤덤하게 살아가는 나의 모습이

그 모습이 내가 매일 마주하는 미라같은 손가락보다 미라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렇게 오늘도 나는 누군가의 안타까운 사연보다는 나에게 주어진 과업이 과중함에 분개하며 매일매일을 살아가고 있었다.

반응형

WRITTEN BY
분홍오리
배우고 싶고 나누고 싶은 밍밍이 건강, 의학 지식과 정보를 공유합니다

,
반응형

응급실에서의 하루는 길다. 응급실은 바쁜 때도 있지만, 한가할 때도 있다. 예를 들면 새벽 시간이다!

이 곳은 한가롭고 평화로운 응급실이기 때문에 낮에도 밤에도 환자가 없지만 밤에는 특히나 환자가 없어서 2시간동안 환자가 안 오기도 한다. 그러면 정말 할일이 없어지는데.... 이 때 여가시간을 잘 활용하여 게임, 잠, 공부 등을 할 수 있다. 그런데 아무래도 밤을 새다 보니 무슨 일을 하더라도 그렇게 잘 집중이 되는 편은 아니어서, 주로 책을 보는 척만 하다가 결국 게임을 하거나 졸다가 근무가 끝나는 것 같다.

매번 야간 근무가 이런 식으로 끝나다보니 차라리 밤에 책을 읽자 라는 마음으로 동네 책방을 찾았다! 이제 밤에 감성 넘치게 소설을 읽는 일만 남았군

동네 책방에서 나를 기다리는 냥이

반응형

WRITTEN BY
분홍오리
배우고 싶고 나누고 싶은 밍밍이 건강, 의학 지식과 정보를 공유합니다

,
반응형

운이 좋게 편한 응급실에서 근무하게 되었다. 환자가 그렇게 많지는 않아서 몰리는 시간대가 아니면 대부분은 폰을 보거나 마음만 먹으면 공부를 할 수 있는 좋은 곳이다 .

응급실에서 인턴의 잡은 환자가 오면 초진을 하고 초기 처방을 내는 것이다 (대부분 기초적 피검사, 영상검사, 수액 처방이다)
대부분의 초기 처방은 인계받은 대로 하면 되고 나의 굳은 지식을 시험할 기회가 많이 있어 일 자체는 만족스럽지만, 인턴이 곤혹스러운 경우는 간혹 힘든 환자분들을 만날 때이다....

# 내가 제일 아파
응급실의 기본은 진짜 아픈 환자는 의식에 없거나 기본적 생체 징후가 (특히 혈압과 맥박) 매우 불안정한 상태로 실려온다.
주로 자기가 제일 아프다고 소리지르는 환자는 스스로 본인이 가장 안아픈 환자임을 모르는 것이 매우 안타깝다...
간혹 "감기기운 있으니까 검사 필요없고 빨리 수액이나 놔주세요!" 라고 오는데......한가한 날이면 다행이지만 정말 응급 환자가 많아서 진료가 늦어진다고 설명하면 "아니 응급실인데 바로 처치가 안돼요??" 라고 소리부터 치는 환자가 오기도 한다. 의료진은 생명을 구하는 일이 아니라 서비스직에 종사중이라고 인식하는 사람들이 많음을 깨닫는 순간이다.
그래도 안타까운 순간은 있다. 외상 환자는 정말 아프고 아무리 심하게 다쳤어도 생명에 지장이 될만한 출혈이나 감염 등이 없으면 최하위 우선순위로 배정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 아가씨!
ㅋㅋㅋㅋㅋㅋㅋㅋ 믿기지 않지만 저 소리가 곳곳에서 들리는 것은 실제상황이다!!!! 큰병원에서 일할 때는 아가씨 아니라고 큰소리 쳤었지만...현재 배정된 상대적으로 작은 병원에서는 이런 일이 비일비재한지 아무도 싸우지 않는다.  아가씨를 부르는 소리가 들리면 간호사 선생님들께서 달려간다...

# 나 응급실이야!
응급실에 아무리 급한 환자가 와도 환자를 제대로 평가한 후에 안전하게 처치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환자의 사고 기전, 아프게 된 경유를 물어보고 과거에 진단받은 병,  복용 약을 확인하는 절차가 중요하다. 그러나 응급실에 와서 의료진이 묻는 말에 대답하기보다는 대뜸 전화를 걸어서 주변 모두에게 자신이 응급실임을 알리느라 바쁜 사람들이 있다.... 정말 치료를 받으러 온건지 응급 환자가 되고 싶어서 응급실에 온것인지 알수없다

# 진통제부터 놔주세요!
아픈 사람한테 이것저것 물어본다고 불평불만이 많은 환자들이 있다. 100번 이해한다고 쳐도 약물 상호작용, 환자의 상황 평가, 알레르기 확인도 안하고 약 쓰다가 잘못돼도 결과를 수용하실지는 의문이다.

# Drunken
말이 필요없다. 정말 많이 마신 사람은 의식이 없이 온몸에 토를 묻히고 온다. 물론 토만했고 다치지 않았으면 다행인 편이다. 어딘가 깨지고 부러져서 오면... ㅠㅠ 술은 인류의 재앙임을 깨닫는 순간이다. 술이 적당히 취한 사람은 응급실에서 난동을 부리기도 한다. 정맥주사 라인을 뽑고 나가려고 한다 ㅋㅋㅋㅋㅋ 자신은 환자가 아니라고 주장하며 소리를 고래고래 지른다. 혼란스러운 응급실의 BGM을 담당하시는 분들이다.


그래도 이곳은 그나마 한적하고 평화로운 응급실이다...
반응형

WRITTEN BY
분홍오리
배우고 싶고 나누고 싶은 밍밍이 건강, 의학 지식과 정보를 공유합니다

,
반응형

마취과에서의 1달을 돌아보면 모든 의료진들이 환자를 격하게... 깨우는 모습이 가장 인상깊었던 것 같다. 처음에는 마취에서 빨리 깨라고 하나 보다 정도로 생각했고, 진통제도 그저 환자가 아파하니까 준다고만 생각했었는데, 교과서를 읽어보고 회복실에서는 꽤나 중요한 일을 하고 있음을 깨닫는 계기가 되었다. 마취과 현장의 생생한 풍경과 교과서 내용을 잘 배합해보려고 노력해 보겠다.

-  Miller’s anesthesia, PACU care  부분 참조

 

1. “으아아악” “펜타닐 50 주세요”

마취과에서 자주 보는 풍경 중 하나는 환자가 통증을 지속적으로 호소하면, 간호사 선생님께서 “ ~~ 수술받고 ~~한 환자 지금 통증 몇 점 호소하십니다” 라고 치프 선생님께 보고하는 상황이다. 마취과 선생님들은 환자의 통증 정도, 그리고 지금까지 어떤 진통제를 썼는지를 보고 다른 종류의 진통제를 쓰는 것 같았다. 아직까지 몇점에는 주로 어떤 진통제는 쓴다 이런 법칙은 잘 모르겠다.

마취과학 책에는 통증이 지속될 경우, 염증 매개 물질이 통증 감지기(nociceptor)를 민감화 (sensitization) 시켜서 통증의 역치가 감소하고 통증 신호의 방출률 및 기저 방출률이 증가하게 한다고 나와있다. 말초에서의 강한 통증 자극은 중추의 통증 감지를 민감화시킬 수 있다 (central hypersensitivity). 이 통증 자극은 척수 후근(dorsal horn)의 기능적 변화를 일으켜 수술 후 통증이 더욱 큰 통증으로 느껴지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조절되지 않는 통증은 그 자체로 더 큰 통증으로 발전할 수 있다.

<수술 후 통증의 급성기 영향>

1) 신경내분비적 스트레스반응(neuroendocrine stress response)

- 증가된 교감신경계 작용

- 증가된 카테콜아민과 이화호르몬(catabolic hormone) 분비: cortisol, adrenocorticotropic hormone, ADH, glucagon, aldosterone, renin, angiotensin II 

- 합성호르몬 분비의 감소 (decreased secretion of anabolic hormone)

- 염분과 수분의 축적

- 혈당, 자유지방산(free fatty acid), 케톤체, 젖산(lactate)의 증가

- 스트레스 반응은 수술 후 과응고상태에 기여(hypercoagulability): 깊은정맥 혈전증, 심근경색 등을 유발

- 스트레스 반응은 수술 후 면역 억제에 기여하여, 이는 수술 범위와 상관이 있다.

- 수술 후 스트레스 반응에 의한 고혈당은 수술 상처가 아무는 것을 지연시키고 면역계를 억제

- 조절되지 않은 수술 후 통증은 교감신경계를 활성화하여 사망률을 증가시킨다. 교감신경계가 활성화되면 심근의 산소 소모량이 증가되어 심근경색을 유발시킬 수 있다. 또한 관상동맥을 수축시켜 심근에 산소 공급량을 줄일 수 있다. 교감신경계의 항진은 소화기계의 기능이 돌아오는 것을 지연시켜 마비성 장폐색(paralytic ileus)를 일으킬 수 있다.

- 수술 후 통증은 척수 반사의 저하를 가져오는데, 특히 phrenic nerve의 활동성을 저하시켜 호흡이 제한될 수 있다. 수술 후 통증 조절이 잘 되지 않는 환자는 숨을 덜 쉴 수 있고 따라서 호흡기계 합병증이 호발할 수 있다.

<수술 후 통증의 만성 영향>

- 수술 후 만성 통증 (chronic postsurgical pain, CPSP)

- 수술 후 통증이 심할수록 CPSP로의 이행 확률이 높다. 수술 후 통증이 심할수록 말초와 중추신경이 통증에 대해 더 민감해지는 변화를 불러오게 되고 이는 만성 통증으로 이행된다. 따라서 수술 후 통증의 조절은 수술 후 환자의 장단기적 회복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2. 덜덜덜

수술을 마치고 나온 환자들 중 온 몸을 심하게 떨고 추워하는 환자들이 많다. 이 때 치프 선생님이 데메롤을 처방하며 따뜻하게 가온을 지시하는 것을 볼 수 있다.

 

3. “환자분 수술 끝났어요 자면 안돼요! 숨쉬세요”

정말 가장 많이 듣는 말 중 하나이다. 마취가 끝나서 비몽사몽한 환자들은 영문도 모른채 혼나야 하고 이 광경이 처음에는 좀 재밌기도 했는데, 사실 의학적 근거가 있는 매우 중요한 처치였다.

수술 후에 기도가 막히는 가장 흔한 원인은 인두근육(pharyngeal muscle)의 힘이 감소하기 때문이다. 마취 시 근신경 차단(neuromuscular blockade)가 이루어지는데, 이 때 마취에서 가장 회복이 느린 근육이 구인두근육이다. 환자가 깨어 있는 경우 인두 근육은 수축하고 횡격막이 음압을 만들어 기도를 유지할 수 있지만, 환자가 자는 경우 인두근육의 활동이 저하되고 기도를 막을 수 있다. 

회복실에서 환자를 격하게 깨우는 모습을 볼 수 있는 이유는 호흡 저하로 환자가 정말 위험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

 

4. 손에 붙은 소아용 심전도 리드, “TOF 튀겨볼까요?”

내가 아는  TOF 는  tetralogy of fallot 밖에 없는데 마취과학 교과서에 따르면 이것은 train of four의 약자이고 (그런데 뭔지 모르겠음) 자극을 주었을 때 엄지 근육 (adductor pollicis muscle)이 잘 반응하는지 보아서 마취에서 잘 깼는지를 확인하는 지표이다.

이는 깨어있는 환자에서 근신경의 차단이 얼마나 회복되었는지를 확인하는 방법 중 하나이다. 근신경 차단의 회복을 확인하는 방법에는 사실 주로 임상적 지표가 확인되는데, 손을 꽉 쥐는 힘, 혀를 내밀 수 있는지, 침대에서 발을 들 수 있는지, 머리를 5초간 들 수 있는지를 보면 된다고 한다. 머리를 5초간 드는지는 환자가 기도를 스스로 유지할 수 있는지의 여부와 가장 연관도가 높다고 한다.

가끔 기도 삽관을 빼지 않은 채로 튜브를 물고 회복실로 오는 환자들이 종종 있는데, 이 때 선생님들이 “환자분 눈떠보세요, 손 꽉 쥐어보세요”를 확인하는데, 삽관을 빼도 환자가 기도를 유지하고 스스로 숨을 쉴 수 있는지를 판단하는 임상적 지표를 확인하는 것이었나보다.

 

5. 슈가 주세요

sugar가 아닌 이것은 sugammadex라는 약물로, 마취가 잘 안 깨는 경우 주는 약물이다. 대신 마취가 매우매우 격하게 깨면서 주변 의료진들이 힘들어지는 광경을 간혹 목격할 수 있다.

 

6. 산소공급

수술 후 호흡이 저하되어 산소포화도가 떨어질 우려가 있으므로, 산소 마스크를 모든 환자에게 적용한다. 또한 수술 전후로 산소를 공급하는 것이 항구토제(ondansetron)만큼 수술 후 구역구토 (PONV) 예방에 효과가 있다고 한다. 

그 외에도 산소공급은 대장 수술 후 수술 상처 부위의 감염을 낮추는 등 기타 이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회복실에서 많이 들은 말 중 하나는 “숨을 크게 안 쉬면 병동 올라가서 토하고 힘들다” 라는 것이었는데, 무슨 말인가 했더니 산소 공급이 충분히 되지 않으면 수술 후 구역 구토에 시달릴 확률이 높다는 아주 의학적인 말이었다. 그렇지만 숨을 잘 쉬는것과 관계 없이 구역 구토에 시달릴 환자들은 매우 힘들어하고 약도 맞고 병동으로 올라가시는 것 같다.

 

7. 인턴쌤 EKG 찍어주세요

회복실은 본래 병동과 달리 평화로운 곳이지만, 심전도가 이상하게 보이는 환자는 인턴을 매우 귀찮게 할 뿐만 아니라 여러 선생님들을 걱정시킬 수 있다! 교과서에 따르면 심전도 시앙이 있으면 심근경색을 배제해야 하고 (주고 ST, 또는 T wave change 있을 때 ) 이 때 troponin 검사와 12리드 심전도를 찍어야 한다.

근데 사실 심근경색이 아니더라도 부정맥 등 심전도 이상이 있는 환자들은 전부 심전도를 찍었던 기억이 난다.

 

 

 

 

 

반응형

WRITTEN BY
분홍오리
배우고 싶고 나누고 싶은 밍밍이 건강, 의학 지식과 정보를 공유합니다

,
반응형

인턴 의사들은 본인이 할 수도 없는, 본인이 잘 모르는 내용의 동의서를 들고 다니며 많은 환자분들의 사인을 받게 된다. 사무적으로 설명을 하고 빠른 시간 안에 사인을 받아야 하기 때문에 최대한 환자를 안심시키고 신뢰감을 주고, 동시에 감정을 드러내지 않는 법을 짧은 순간 안에 모두들 배우게 된다. 하지만 사람과 사람이 만나는 곳에서, 같은 말을 하더라도 표정과 몸짓, 상황, 그리고 환자들의 다양한 반응에 설명은 30초가 되기도, 3분 이상이 걸리기도 한다.

수술을 앞둔 환자들은 다양한 반응을 보인다. 대부분은 덤덤하게 보이고 언제 수술을 받는지 물어보지만, 간혹 지켜보기 어려울 정도로 슬퍼하는 환자들과 보호자들을 만나기도 한다. 때로는 그들의 불안을 나에게 적개심으로 표현하기도 해서 부작용을 설명할 때 엄청난 공격을 받기도 한다. 그러나 재미있게도 공통점은, 모두 내가 전달하는 정보보다는 수술이 대부분 안전하게 진행되고, 잘 치료를 받게 될 것이라는 확신과 위안을 필요로 한다는 점이다. 그래서인지 나는 어느 순간부터 환자분들의 표정을 살피며 '너무 걱정 말아요, 잘 될거예요'라고 말하는 것이 입에 붙어버렸다.

공감하는 표현을 하더라도 매우 바쁜 업무 속에서 그러한 표현은 단순히 빠른 업무를 위한, 영업용 멘트에 불과한 경우가 많다. 모든 사람에게 진심으로 어떠한 말을 건내기에는 우리는 너무 업무 량이 많고, 우리 개인의 시간이 매 순간 빠져나가는 삶을 살아가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가끔씩 나를 그들의 삶 근처로 불러들이고 생각하게 만드는 분들이 있다.

인턴들은 환자 차트를 자세히 까보는 법이 없고 본인들에게 필요한 정보만 적어가기 때문에 그날 만났던 할아버지에 대해서 잘 기억이 나지는 않는다. 아마 70-80대의 나이가 매우 지긋하지만, 병원에 입원한 할아버지 치고 매우 정정한 할아버지였다는 점이 기억난다. 동의서 내용을 재빠르게 설명하고 자리를 떠나려던 차, 할아버지가 수술에 관해 질문해 왔다.

"수술을 하게 되면 죽만 먹거나 엄청 조금씩 먹어야 한다는데, 이제 고기는 못 먹습니까?"

보통 수술 및 처치에 관한 설명을 들으면 빠르게 '수술에 관한 것은 집도과에 물어보시는 것이 정확합니다'라고 말하고 자리를 뜨는 것이 나의 업무에는 도움이 된다. 90%는 대답 없이 그렇게 하지만, 그날은 어쩐지 할아버지의 질문과 표정이 나를 붙잡았다.

인턴은 이 환자가 수술을 받는다는 것 말고는 사실 아무것도 모른다. 그렇지만 수술 후 죽만 먹는다는 것으로 봐서 아마 위 수술을 받을 것이라는 것, 위를 절제할 것이라는 것 정도를 유추할 수 있었다.

나는 위 수술을 받는지를 재차 확인하고, 학생때 배운 수준에서 음식을 조금씩 자주 먹어야 하고, 급하게 먹으면 응급실에 올 수 있다고 설명을 하면서도, 집도과의 치료에 개입할 수는 없으므로 자세하게 설명할 수는 없다며 돌아서려 하는 찰나,

"아니 그럼 이제 수술 후에는 밥도 제대로 못 먹는단 말이오..."

이것이 정말 질문이었다면 매우 바쁜 상황에서 짜증이 났겠지만, 할아버지의 표정은 실망과 좌절이 역력했다. 이미 밥을 이전처럼 먹지 못한다는 설명도 들으셨을 테고 알고는 있지만, 현실을 부정하고 싶은 마음이 더 크셨을 것이다.

할아버지는 불평에 가까운 질문을 몇 마디 쏟아내셨고, 나는 할아버지의 나이를 흘깃 보고서,

"할아버지, 이 나이에 병원에 오는 것이 얼마나 축복인데요. 30세에 말기 암으로 오는 환자들도 많아요."

"아니 이제 평생 죽만 먹게 생겼는데 무슨 축복이오?"

"할아버지 지금껏 건강하게 사시면서 얼마나 잘 사셨어요, 일도 열심히 하셔서 결혼도 하시고 이렇게 자식들도 낳아서 잘 기르셨잖아요. 이렇게 자녀분이 훌륭하게 자라셨는데 할아버지 얼마나 잘 사셨어요"

할아버지 곁에는 할아버지 딸로 보이지만 할아버지와 같이 나이를 먹은 중년의 여성이 서계셨다. 할아버지는 문득 따님을 물끄러니 보더니, 애틋하고 또 흡족한 듯이 웃으면서 나에게 오른손을 쫙 펴서 보여주셨다.

"다섯"

"네?"

"자식이 다섯 명이야."

할아버지는 헤벌쭉, 웃어보이셨다. 나도 피식 웃으며 고개를 돌리면서,

"아이구 할아버지! 평생 죽만 먹어도 되겠네요!" 라고 장난스럽게 말했고, 다같이 웃음이 터졌다.

이제 병실을 나서려고 뒤돌아서는 순간, 할아버지는 내 등 뒤에

"고마워요, 아가씨가 최고야." 라고 말하셨다.

 

평소에는 아가씨라는 단어에 기분이 나빴겠지만, 그날만큼은 그렇지 않았다.

나는 30년도 채 살지 못한 새내기 의사, 할아버지는 산전수전 다 겪고 이제 인생의 마무리를 바라보고 있다. 연배로 치면 인생에 대해 아무것도 모르는 내가, 질병과 죽음을 앞둔 할아버지에게 위로를 건네는 상황이 어떻게 보면 말이 안되기는 하다. 할아버지에게 나는 의사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죽음과는 거리가 먼 '아가씨'이기도 했기 때문이었겠지.

내가 모르는 것에 대해 이야기해야 하는 직업은, 정말 오묘하다는 생각이 드는 일화였다.

 

반응형

WRITTEN BY
분홍오리
배우고 싶고 나누고 싶은 밍밍이 건강, 의학 지식과 정보를 공유합니다

,
반응형

인턴이 하는 대표적인 일 중 하나는 동의서를 받는 것이다. 사실 우리가 동의서의 내용에 대해 아무것도 모르는 때도 있지만 법적으로는 의사의 설명 의무...가 있기 때문에 이렇게 하는 것 같기는 하다.

학생 때는 동의서 받는 항목이 따로 실습 시험에 포함되어 있어 이것을 연습해야 했다. 정석대로 하자면 일단 첫 멘트로는 환자분 확인을 위해 개방형으로 질문하고 혼자 오셨는지 (누군가와 같이 들을것인지) 묻고 시술자와 주치의 그리고 설명자 등등을 열심히 말해야 점수를 다 딸 수 있지만 이것을 실제로 모두 시행하는 것은 정말 불가능하다.

하지만 하루에 50-80개의 동의서를 업무 외의 시간 (2-3시간) 내에 해결해야 하는 우리들에게는 동의서 하나당 많아야 3분의 시간을 할애할 수 있을 뿐이다. 사실 환자분들에 따라서 설명을 더 요하는 환자분도 있고, 아닌 환자분도 있어서 그냥 사인을 해 주시면 정말 우리로서는 감사한 일이다. 그러나 마음 한편으로는 혹시나 사고가 났을 때 내가 설명을 하지 않았다는 말을 들을까 불안한 마음이 있어 항상 가장 심각한 부작용은 꼭 설명을 해주고 있다. 물론 일어날 확률은 1/1000 이하라고 말하면서....

마취 동의서는 다른 동의서와는 달리 수술에 관한 질문들을 많이 받아서 난처한 경우가 많다. 환자들의 가장 흔한 질문은 내일 언제 수술을 받느냐는 것이다. 나도 정말 알려주고 싶지만... 수술이라는 것이 그 예정 시간에 맞추어서 칼같이 들어갈 수 없는 것이고 예정 시간에 맞추어 칼같이 끝나지 않으며 항상 변수가 있어 앞 수술이 지연되면 다음 수술도 지연 +지연 + 지연 되는 것이라 병원에서는 수술 시간을 알려주는 것을 싫어하는 듯 하다. 그치만 더욱 중요한 것은 인턴 의사들은 환자 한명한명의 병력은 커녕 수술을 언제 하는지 알아볼 시간이 없기 때문에 절대 알려줄 수 없다 ㅋㅋㅋㅋㅋ!!!!

질문을 받아서 시간이 지체되는 우리로서는 정말 저 질문이 답답할 뿐이지만... 내가 환자 입장에서 내일 수술하는 건 알겠는데 언제 내가 끌려가는지 모르면 답답할 수밖에 없다는 생각이 든다. 그도 그런 것이 수술을 위해서는 금식을 해야 하는데, 수술이 계속 길어질 경우 금식 기간이 길어져서 환자가 매우 불편해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런저런 사정을 또 설명하면 내가 여기에 할애해야 하는 시간이 길어지기 때문에... '어머 간호사 선생님이 이따 알려주실거예요' '집도가 선생님이 수술 동의서 받으러 와서 자세히 설명해 주실텐데 그 때 물어보시면 돼요' ' 아직 확정 안 났어요' 등등의 핑계로 열심히 넘어간다.

가끔 내가 직접 마취를 하는 것도 아닌데 이 동의서를 받는 것에 대한 책임은 누구에게 지우는가를 고민하게 된다. 나는 부작용을 설명할 뿐 내가 마취를 하는 것이 아니므로 이 부작용이 실제로 발생하면 책임은 누가 지는지 궁금하다. 사고가 설명의 의무를 다 했다는 것을 보이는 것이 나의 최선일 듯 하다....상황이 어떻든저번달도 그랬지만 이번달도... 내가 있는 동안 내가 받은 동의서, 내가 한 시술 중 아무 사고가 없기를 항상 기원하며 일을 하고 있다.


반응형

WRITTEN BY
분홍오리
배우고 싶고 나누고 싶은 밍밍이 건강, 의학 지식과 정보를 공유합니다

,
반응형

학생때는 멀리서 바라볼수밖에 없었던 주렁주렁한 마취과 약물 스티커를 종류별로 골라서 쓸 수 있다! 위의 사진은 같이 마취과를 돌고 있는 동기의 핸드폰 사진.

 

로딩이 많았던 3월 신경외과를 뒤로하고, 컴퓨터 앞에 하루 10시간 이상 앉아있을 수 있는 마취과로 와서 몸은 일단 편해졌다. 몸이 편해졌다고 나에게 자유가 많이 생긴 것은 아니다. 마취과 인턴의 기본은 '킵'이기 때문이다.

다른 병원 마취과는 어떨지 모르겠으나, 내가 수련받고 있는 병원에서의 마취과 인턴의 주요 업무는 회복실 킵이다. 회복실에서 대기하고 있다가 환자가 나오면 옷을 입히거나, 동맥관(a-line)을 빼거나, 삽관을 한 채로 나온 환자는 삽관을 빼거나(extubation) 하는 등 병동에 비하면 간단한 업무를 하고 있다.

처음엔 몸이 편해서 너무너무 당황스러웠고(!!콜이 안오다니!!), 몇일이 지나자 환자 옷입히고 베드 정리하는 일을 하면서 하루종일 뭘 배우는가, 이런 생각도 들었는데, 그래도 시간이 좀 지나니 수술 후의 환자 관리에 대해서 조금 ? 아주 조금 배우는 느낌이다.

혈압이 높아지는 환자에서 nicardipine을 투여하는 것, 간호사 선생님들이 환자들의 NRS를 매겨서 치프선생님에게 보고하면 선생님께서 약물 (propacetamol/fentanyl/pethidine/ketorolac) 종류를 정해주는 것이라던가, 구토감을 호소하는 환자에게 ramosetron/palonosetron을 투여하는 것을 관찰하고 있다.

사실 니카디핀을 왜 투여해야하는지 왜 진통제는 특정 종류를 투여하는지 몰라서 열심히 교과서를 찾는...중이다 (니카디핀은 심장 질환이 있는 환자에서 써도 상대적으로 안전하다고 한다). 확실히 다른 과보다는 개인 시간이 많이 생겨서 궁금한 것도 생기는 것 같다.

몇일 전에는 수술 후 부정맥 환자가 생겼는데, 선생님들이 리듬을 보고 평가하더니 바로 약물을 슈팅하고 환자의 리듬이 돌아오는 것을 보앗다. 학생 시절 마취과는 격하고 바쁘게 intubation 후에 조용히 대기하다가 격하고 바쁘게 extubation만...하는 과라고 생각했는데 회복실에서 다양하게 환자를 manage하는 모습을 보니 다이나믹한 과라는 생각이 든다.

아직 모르는 것이 많아서 마취과 교과서에서 postoperative pain, PACU care에 관한 부분을 발췌하여 읽고는 있지만 약제의 선택이나 그 이유는 잘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 음...대신 환자들에게 빠르게 안심되도록 설명을 하여 싸인을 유도하는 능력은 나날이 발전하고 있다.

 

반응형

WRITTEN BY
분홍오리
배우고 싶고 나누고 싶은 밍밍이 건강, 의학 지식과 정보를 공유합니다

,
반응형

물론 병원마다 다르기는 하겠지만 인턴 의사의 업무를 나열해 보겠다.

의대는 6년 의전원은 4년의 힘든 공부를 마치고 무언가 내가 임상적으로 중요한 결정을 내릴 것이라면 아주 큰 오해..... (오히려 결정권이 없어서 다행이라고 생각할 때가 많다.)

 

1. 드레싱 (소독)

붕대를 제대로 못 감으면 (특히 전문간호사보다 못 감으면) 환자 및 보호자들에게 엄청난 원성을 들을 수 있다. 피부에 달라붙은 반창고를 뗄 때 환자가 매우 아파한다...

 

2. 처방

절대 내 자의로 처방을 내는 것이 아니고 처방 메세지가 날아오면 그대로 처방한다. 그대로 처방 안해주면 간호사쌤에게 전화가 온다. 가끔 이 처방은 누가 내는 것인지 정말 궁금하다. 주치의 선생님? 교수님? 사실 간호사 선생님께서 자의로 판단하고 넣어도 나는 아무것도 모르니 처방할 수밖에. 이런 식이면 간호사 선생님께 아이디를 주는 것과 무엇이 다른가 싶다 ㅋㅋㅋㅋㅋ

한번은 아이에게 투여하는 진정제가 성인의 표준 양보다 두 배 이상 오더가 들어가 있길래 "이거 너무 많은 것 아닌가요? 라고 물었더니,

돌아온 답은... "선생님, 판단은 우리가 해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넹

 

+언젠가 한번 바셀린 응급 처방이 들어왔다며 동기가 엄청 웃은 적 있다. 올리브영에 뛰어갔다 오는 것이 빠를 것 같은데 말이지...

 

3. 소변 빼주기

정말 이것 때문에 잠에서 깨면 자괴감이 말이 아니다. 소변을 어떻게 빼냐면...말그대로 요도에 소변줄을 넣어서 수동으로 빼는 것이다 (NOOOOOO)

영구적으로 넣는 소변줄의 모식도는 아래와 같고, 그냥 빼달라 할때는 관을 넣어서 소변을 빼고 관을 뺀 후 끝이다.

이걸 처음 접하는 환자들의 반응은 ... 놀라움 + 고통에 가까울 것 같다.

 

도대체 이 일을 왜 해야하냐 (왜 소변을 못 보냐) 라고 묻는다면... 수술 하고 일시적으로 안 나오시는 분도 있고 아니면 나이드신 분이고 원래 전립선 비대가 있었는데 병원 와서 수수랗고 나서 더 안나오는 분도 있고... 하여튼 건강한 사람이라면 상상도 못할 일이기는 하다.

가장 짜증나는 점은 우리는 정규(월화수목금)가 있고 당직이 있는데, 평일에 당직을 하는 경우 정규(아침부터 저녁) + 당직(저녁부터 새벽) + 정규 (아침부터 저녁) 스케쥴을 소화해야만 쉴 수 있다 (총 34-46시간) 그래서 다음날 정규를 생각하면 어찌어찌 1시간이라도 자야 하는데... 자려고 숙소에 들어가는 순간 환자 소변을 빼야 한다는 전화가 온다 (새벽 4시에도 이 전화는 온다 ㅠㅠ....)

이렇게 새벽 시간에 소변을 빼러 가면 환자도 보호자도 자고 있고 환자는 자는 상태에서 혼자 외롭게 환자의 소변을 빼게 되는데 이보다 자괴감이 들 수 없다. 차라리 소변을 정말 못봐서 죽을똥 말똥 깨있으면 내가 정말 환자에게 필요한 일을 하러 왔구나 생각이라도 들지만... 하.....

환자가 화장실을 스스로 갈 수 있는 것은 인턴 의사에게는 축복이다.

 

4. 콧줄 (L-tube)

어떤 이유로 식사를 못 하거나 몸에 가득찬 가스를 빼야 하는 환자들은 코부터 위로 들어가는 줄을 넣게 되는데... 여러번 넣어본 환자들은 잘 하지만 처음 넣어본 환자는 구역질을 심하게 한다. 어떤 일이든 환자가 괴로워하면 보는 나도 괴롭다.

 

5. 동의서

수술 동의서같은 엄청난 것은 우리가 절대 받지 않는다. 우리가 받는 것은 CT, MRI 정도...

사실 큰 병원 신경외과의 경우, 다른 병원에서 이미 영상 검사를 하였고, 우리 병원에 와서 다시 검사를 하는 분들이기 때문에 대부분 찍어본 기왕력이 있다.

우리는 하루에 많게는 4-50개의 동의서를 받아야 하기 때문에... 보통 30초컷으로 동의서를 받게 된다.

"환자분~ 언제언제 검사 잡혀있어요. 이 검사 해보셨죠? 똑같이 진행되고, 사인해주시면 되세요."

그리고 사인 하시는 동안 혹시라도 생길 수 있는 부작용 열심히 설명....

동의서가 엄청나게 쌓이면 우리끼리 '동의서 라운딩'이라는 것을 열심히 돌게 된다. 층 안에 있는 환자들에게 여러개의 동의서를 받게 되고, 약 30개정도의 동의서를 40분안에 해치우면 이제 동의서 고인물로 불릴 수 있다.

 

6. 수술방

나는 지금 수술과를 돌고 있기 때문에 수술 준비를 돕는다. 환자 심장과 폐에 문제는 없는지 정말정말 간단한 검사를 하고 (EKG CXR) 기타 동의서를 챙긴다. 마지막으로 수술 당일날 수술방 검체까지 챙기게 된다. 수술방 검체가 나오면 이를 접수하는 것도 인턴의 몫이다.

사실 수술과는 수술이 제일 중요하고 병동은 뒷전이므로 수술 준비가 제대로 되어있지 않으면 엄청난 잔소리(?!)를 먹을 수 있다.

그리고 수술방 전문간호사쌤이 퇴근하게 되면(가지마요 쌤...) 수술방에서 보조를 서는데, 할 줄 아는 것이 아무것도 없어서 눈총을 받다가 도리어 해가 되어서(contamination!) 쫓겨난 적이 있었다(YES!) 수술과에 관심있는 분이라면 크리티컬한 일이겠지만 ㅋㅋㅋㅋㅋㅋ 나는 수술과에 관심이 없으므로 병동으로 돌아오며 기뻤다. 병동일을 해치우면 일찍 잘 수 있기 때문...

 

학생 때는 인턴 일이 매우 궁금했어서 몇 자 적어보았다. 물론 인턴 일은 OSCE에서 연습한 것과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L-tube insertion이라던가, T-can dressing & change 등의 기타 업무가 생기지만 사실 몇일 구르다보면 다른 술기에 익숙해지면서 언젠가는 하게 된다.

반응형

WRITTEN BY
분홍오리
배우고 싶고 나누고 싶은 밍밍이 건강, 의학 지식과 정보를 공유합니다

,
반응형

무슨 이유에서인지 나는 다른 인턴들보다 보호자의 요청사항을 주치의에게 전달해야 하는 상황에 자주 처하는 편이다.
일이라고 생각하면 매우 귀찮지만... 보호자들은 지푸라기라도 잡는 심정으로 말단 의사에게 이것저것 물어보는 것이므로
이들을 무시하고 지나칠 수 있는 의사는 몇 안되리라 생각한다

사실 큰 대학병원이면 최고의 치료를 생각하고 오는 것이 맞지만
수술 실력은 최고일지 몰라도 환자가 너무 많다보니 교수님께서 직접 환자 현명한명을 신경쓰는 것은 매우 어렵다...
때문에 환자가 대면하게 되는 의료진은 간호사나 말단 의사들인 경우가 더 많다. 특히 인턴...

사실 아는 것은 쥐뿔도 없기 때문에 환자가 나에게 무언가를 질문하면 내가 할 수 있는 거라곤 환자를 안심시키는 일뿐이다
사실 그들이 나를 잡는 이유는 불안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아는 것도 많이 없어도 그저 들어주고 내가 아는 내용만 반복해서 설명하고 주치의 선생님께 보고드리는 것만으로도 환자들은 고마워했다.

보호자들과 이야기하고 돌아서면서 나는 많은 생각을 한다. 분명 인턴 의사라는 것은, 수련을 위해서 일을 하고 있지만, 나는 이 곳에서 공부를 하기보다는 업무 보조에 가깝다는 점, 그리고 간호사들보다 아는 정보가 없다는 점이다. 때로는 동의서 설명을 하다가 막히면 보호자들이 오히려 교수님이 해준 설명을 그대로 해 주고, 그것을 통해서 배우기도 한다.

너무 답답해서 본과때 배웠던 신경외과 강의록을 펼쳐보기도 했고, 약간의 지식을 얻을 수 있었지만, 빠른 속도로 환자들이 치료받고 가는 이 곳에서 나에게 주어진 일만 하기도 벅차기에 나는 사실 한 명 한명 소중한 환자들을 스쳐보내고 있는지도 모른다.

오늘은 보호자가 나에게 물어보았다.

"선생님 혹시 ㅇㅇㅇ(환자) 영상 보셨나요?"

바쁜 하루는 어찌어찌 지나갔고 나는 보호자의 말에 처음으로 환자의 영상을 열어보았다. 15일만에 처음으로 열어본 환자의 영상이었다.

 

반응형

'Medicine > 인턴일기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턴일기 - 타인의 삶 근처에서  (0) 2019.04.21
인턴 일기 - 동의서 받기  (0) 2019.04.20
인턴 일기 - 마취과 인턴의 일상  (0) 2019.04.19
인턴 의사의 업무  (1) 2019.03.16
인턴 의사 첫날의 기억  (0) 2019.03.10

WRITTEN BY
분홍오리
배우고 싶고 나누고 싶은 밍밍이 건강, 의학 지식과 정보를 공유합니다

,
반응형


인턴 의사가 드라마에서 어떻게 그려지는지, 그리고 의대생 친구들에게 어떻게 생각될지는 모르겠지만

첫날의 기억은 ‘내가 이러고도 의사를 할 수 있을까’라는 생각이 반복적으로 드는 하루였던 것 같다.

소위 말하는 좋은 병원 인턴이 되었고, 시스템도 훌륭하고 간호사 선생님들 및 교육도 너무 훌륭하지만

막상 실전에 투입되었을 때 처방이나 간단한 소독(드레싱)조차 제대로 못 해서 업무가 어마어마하게 밀려있는 나를 보며

내가 이러고도 의사라고 할 수 있나, 회의감이 많이 들었다.


시험만 잘 본다고, 공부만 잘 한다고 좋은 의사가 될 수는 없나보다.

똑같은 처치를 하더라도 환자들에게 더 좋은 치료 경험을 주는 것, 제 시간내에 일을 끝내는 것

무엇보다도 자기 체력과 기분 관리를 하여 동료 및 환자들과 좋은 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이토록 중요할줄은 몰랐다.

또 최대 36시간의 연속 근무를 지속하며 나의 템포 관리를 잘 하는 것, 짜투리 시간을 만드는 것

그리고 여유 시간을 의미있게 보내는 것... 


자기관리에 서툴렀고 그저 떠먹여주는 공부만 했던 나에게, 말단 의사로서의 삶은 큰 위기로 다가오고 있다. 


그치만 생각보다 그렇게 자괴감만 드는 편은 아니다.

학생 때는 멀찍이서 선생님들이 하는 처치를 보면서 아무 것도 못 하는 나에 대한 자괴감이 컸는데,

이제는 명찰도 있고 직분이 있는 ‘권한’이 있는 사람이 되었다는 사실에 기분이 좋다.

첫날에는 사실 ‘이게 뭐지? 이렇게 하는 게 맞는건가?’라는 마음으로 일했지만

입원하신 분 한 분 한분을 알게되고, 간호사 선생님들 얼굴도 익숙해지고, 자기 파트 일도 아닌데 나를 도와주는 간호사 선생님 그리고 동기분들과 함께하면서 자신감이 상승하고 있다 ㅋㅋㅋ

그리고 별 것 아닌 설명이지만 나의 설명을 진지하게 들어주는 환자분들 한분한분에게 너무 고마운 마음뿐이다. 

사실 아무것도 모르기 때문에... 이제 10일이 지나고 나서야 예전에 공부했던 신경외과 강의록을 펼쳐보고 있다.


인턴 업무는, 힘들다.



반응형

WRITTEN BY
분홍오리
배우고 싶고 나누고 싶은 밍밍이 건강, 의학 지식과 정보를 공유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