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부정맥제'에 해당하는 글 1건

반응형

먼저 원리부터!

위는 purkinje fiber의 action potential graph

<Class I : 나트륨 차단제>

phase 0 에서는 나트륨 채널이 열리면서 Na channel이 inactivation 되는 구간.

차단제는 voltage-sensitive Na+ channel의 알파 subunit을 막는다. excitability & conduction velocity가 낮아지는 효과가 있다.

1A drug : quinidine, amiodarone, procainamide, disopyramide

action potential duration을 길게 하고, depolarization을 완만하게 한다 (그래프가 기울어진다)

사실 1A는 부작용 때문에 임상에서 많이 안 쓰는 약물들이다. disopyramide는 ventriuclar arrhythmia, procainamide는 ventricular or atrial arrhythmia에 사용된다.

Quinidine의 아주 흔한!! (30-50%) 부작용은 설사이고, 다량 복용시 cinchonism 즉 기나중독증에 걸리게 된다. Disopyramide는 항콜린 작용이 나타나고, procainamide는 torsade de pointes 가 나타날 수 있다.

또 Procainamide의 특이한 부작용을 꼽으라면 lupus erythematosus, 즉 SLE-llike syndrome이고, 가역적이다.

 

1B drug : lidocaine, mexiletine, tocainide

depolarization 속도 자체에는 영향은 적지만, action potential duration을 짧게 한다.

먼저 리도케인은 자주 쓰인다. IV로 쓰게 되고, ventricular tachycardia를 없애는 효과가 있다. cardioversion 이후에 Vrib을 예방하기 위해 쓰이기도 하지만 논란이 있다. 부작용은 신경 부작용이 있으나 비교적 안전한 편이다.

 

 

1C drug : flecainide, encainide, propafenone

action potential 속도를 줄이고, action potential duration에는 거의 영향 없음.

flecainide는 supraventricular arrhythmia이면서 구조적 심질환이 없을때 사용된다. 하지만 VT, MI에서는 부정맥을 악화시킬 수 있다.

 

<Class II drugs: 베타 차단제>

esmolol, metoprolol 등

phase 4 depolarization에 관여한다. 여기서 phase 4는 재분극 후 sodium permeability의 증가가 있는 단계이다. 여기서 depolarization이 일어나고, 이로 인해 세포는 다시 action potential을 찍을 수 있는 threshold에 다다르게된다.

교감신경계 항진으로 인해 발생한 tachyarrhythmia에 사용된다. 또한 atrial flutter or fibrillation, AV nodal reentrant tachycardia에 사용된다.

<Class III drugs : K channel blocker>

bretylium, amiodarne, sotalol, dofetilide, ibutilide

K channel을 막아서 phase 3 repolarization시기를 늘린다. Phase 3는 K channel이 열려서 K가 membrane 바깥으로 나가면서 repolarization 되는 시기이다. 이로 인해 net gain of Na and net loss of K가 생기는데 이는 Na/K atpase에 의해 교정된다.

이 약은 action potential duration을 늘리면서 resting membrane potential이나 phase 0 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대신 부정맥을 유도할 가능성이 있다 (Torsade de pointes)

대표적으로 아미오다론은 afib의 rhythm management에 쓰인다. recurrent ventricular tachycardia 예방에도 쓰인다. 다만 부작용은 fatal pulmonary fibrosis이다. 이 외에도 neuropathy, hepatotoicity, optic neuritis, blue-gray skin discoloration, corneal deposits, hyper- or hypothyroidism이 있다.

sotalol은 afib의 rhythm management에 쓰인다. 또 atrial flutter, reftractory paroxysmal supraventricular tachycardia, ventricular arrhythmia에도 쓰인다.

dofetilide는 afib의 rhythm management에만 쓰인다

<Claass IV drug : 칼슘 통로 차단제>

verapamil, diltiazem 등이 있다.

phase 4 depolarization의 속도를 줄이고, avnode conduction을 느리게 한다.

칼슘 유입을 막아서 spontaneous depolarization을 막는 역할이 있다.

이 약물들은 reentrant supraventricular tachycardia, rate control in atrial flutter & fibrillation에 쓰인다.

 

 

 

 

 

반응형

WRITTEN BY
분홍오리
배우고 싶고 나누고 싶은 밍밍이 건강, 의학 지식과 정보를 공유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