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정의

신생아 호흡 곤란 증후군은 폐 표면 활성제가 부족하여 무기폐로 인하여 호흡부전이 나타나는 질환이다. 이 질환은 미숙아에서 흔히 나타나는데, 이는 폐가 충분히 성장하지 못하여 폐의 표면활성제가 충분히 분비되지 못하기 때문에 일어난다. 이 질환은 호흡 부전 뿐만이 아니라 여러 장기의 부전을 초래하며, 유리질막병(hyaline membrane disease, HMD)과 동의어이다.

이 외에도 RDS의 발병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폐의 호흡 구조상 폐포 내의 교환 공간이 아직 미숙하며, 혈액에 산소를 공급하는 폐의 능력 부족 (alveolar endothelial membrane을 통한 gas exchange가 부적절) 등이 있다. 또한 흉벽이 상대적으로 지지가 약하여 폐가 쉽게 허탈 (collapse), 즉 짜부러들게 된다.

2. 위험 인자

폐의 성숙도가 미숙할수록 잘 발생하므로 재태 기간이 짧을수록, 출생 체중이 작을수록 호발한다. 28주 미만에서 60-80%, 32-36주에서 15-30%, 37주 이후에서도 드물기는하지만 발생 가능하다.

미숙아, 분만 진행 전의 제왕절개술, 신생아 가사, 미숙 남아, 당뇨 임산부에서 출생한 아기, 다태아, 빠른 분만 진행, 한랭스트레스, 임산부의 과거 RDS 출산력, 백인 등이 위험인자에 해당한다.

3. 보호 인자

이를 예방하기 위한 목적으로 흔히 투여되는 것이 산전 부신 겉질 호르몬, 즉 스테로이드이다.

신생아 호흡 곤란 증후군의 발병 빈도를 줄이는 요소로는 부신 겉질 호르몬의 접종, 조기 양막 파수, 임산부의 임신 중독증, 임산부의 고혈압, 만성 자궁 내 스트레스, 만성 자궁 태반 부전증, 임산부의 opiate와 같은 특수 약물 중독, 부당 경량아 (small for gestational age) 등이 있다.

4. 표면 활성제

- 기능

표면 활성제는 퍠포에서 표면 장력의 저하와 폐포의 안정성 유지를 도와주어 폐포가 짜부라드는 것을 막는 역할, 즉 허탈 (collapse) 되는 것을 막는다. 폐포는 제 1형, 2형이 있고 표면활성제를 생성하고 분비하는 것은 제 2형 폐포 세포이다. 표면활성제는 재태기간 20주부터 출현하지만 충분하지 않은 수중이며, 양수에는 28-32주에 나타나 35주에 성숙치에 도달한다.

폐의 표면 활성제는 제 2형 폐포에서 생성된 뒤 폐포강 내로 분비되며, 폐포 표면에 고루 분포되어 장력을 낮추어 폐가 허탈되지 않고 팽창을 유지하게 한다.

- 구성

표면 활성제의 생화학적 구성은 saturated phosphatidylcholine, phosphatidylglycerol (PG), 폐 표면 활성화 단백질 (surfactant protein: SP-A, SP-B, SP-C, SP-D)로 이루어져 있다. 이 중 phosphatidylcholine이 65%를 차지한다.

- 계면 활성제에 의한 병태 생리

먼저 계면 활성제가 부족하여 무기폐가 오고, 무기폐가 오면 폐포에서의 공기 교환의 부족으로 저산소증, 고탄산혈증, 산증이 가중된다. 계면 활성제가 부족하여 폐가 쉽게 허탈되면 폐의 순응도 (compliance)가 감소하고 저항기 증가하게 되는데 이것은 호흡 생리의 장애 (FRV 감소 등)를 가져온다. 또한 저산소증, 고탄산혈증 등은 결국 여러 장기의 합병증을 유발하게 된다.

5. 임상 증상

호흡 곤란과 청색증이 수 분 이내부터 나타나고, 미숙아에서 더욱 심하다.

빠른 호흡, 함몰 호흡(늑간의 함몰이 보인다), 호기 시 신음, 청색증, 코를 벌렁거림 등이 있고 이는 시간 경과에 따라서 더욱 심해진다.

반응형

WRITTEN BY
분홍오리
배우고 싶고 나누고 싶은 밍밍이 건강, 의학 지식과 정보를 공유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