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cine/OBGY (산부인과)'에 해당하는 글 12건

반응형

ASCUS.pdf

의료인을 위한 유튜브 링크 : https://youtu.be/cTYyN4WJca0


자궁경부암은 HPV 바이러스에 의해 생기는 것으로 알려진 여성의 생식기 암이다

 

자궁 경부암은 증상이 없기 때문에 pap smear, 즉 자궁 경부암 검사를 통해 최근에 조기에 발견되고 있다.

자궁경부암 검사중 ASCUS는 atypical squamous cells of uncertain significance의 약자로 말 그대로 암이 의심되지만 암이라고 말할 수 없는, 자궁경부 세포의 비정형적 변화이다.

ASCUS는 가장 흔한 비정상 결과로, 암이 될 확률은 다른 비정상 결과들과 비교해 가장 낮다.

ASCUS가 결과로 나올 경우 할 검사는
1. 1년뒤 재검
2. 인유두바이러스검사

왜냐하면 인유두 바이러스에 걸렸을 경우 자궁경부암 위험이 더 크기 때문이다.


 

 In clinical setting, we frequently hear ASCUS as pap smear result. But what exactly is ASCUS?

-

ASCUS stands for atypical squanous cells of undetermined significance. It is the most common abnormal result of pap smear, a screening test for cervical cancer.
-
the meaning of ascus, then, is some cellular changes that are suspicious but are not conlusive of neoplasm
-

So ASCUS is a diagnosis made by cytology, meaning that there are some atypical cells which may have risk of cancer. But ASCUS runs least risk of developing to cancer, especially more so if the patient is not infected with HPV
-
HPV, human papilloma virus is an identified cause of cervical cancer. There are many virus types, and some have high risks of developing cancers while others do not.
-
The initial management can be summed as follows. Very simple.
So in case the test result is ASCUS, HPV testing is recommended to stratify the risk of cervical neoplasm in the future. Some patients, who first present with ASCUS, actually turns out to have cervical neoplasm , especially in case they are HPV carrier. For this reason, HPV testingis recommended.
Or another approach to ASCUS may be to do a follow up co-test in one year.
-
In both cases, if the tests turn out to be negative, they will simply need followup every three year.

But in cases the next step they took shows bad results, colposcopy will be done. Through colposcopy, doctors will look for lesions, in medical term squamous intraepithelial lesions, and if needed, will conduct biopsies.

-
There are always exceptions.
what is patients have persistent HPV positive result while nothing on colposcopy?
then in this case, annual colposcopy is recommended
-
another question! what if the patient does not carry HPV while persistently have ASCUS?
here again, co-testing is recommended every three years.
-


반응형

WRITTEN BY
분홍오리
배우고 싶고 나누고 싶은 밍밍이 건강, 의학 지식과 정보를 공유합니다

,
반응형

 

 

Cervical Incompetence.pdf.pdf

Cervical Incompetence.pptx

.

 

 

 

의료인을 위한 유튜브 링크 :  https://youtu.be/kLxvSQAt-q4

 

 

자궁경관 무력증, 자궁목관 무력증

 

정의

임신 2분기 혹은 3분기 초에 자궁목이 진통 없이 개대되고 소실되며 양막이 질내로 돌출되면서 파열되고, 이어서 태아가 만출되는 경우

 

진통이 없이 자궁목관의 개대 및 소실이 진행될 수 있으며, 초음파 검사에서 비정상적으로 짧은 자궁목관을 보인다.

 

자궁목관의 임신 중의 길이

임신 14-22주 사이에 35-40mm

임신 24-28주 사이에 자궁목의 길이는 35mm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만삭에는 대략 30mm

 

위험인자로는

선천적으로 콜라겐 이상이 있는 경우, 자궁기형, 태아의 자궁내 DES 노출

후천적 요인으로는 자궁경우 열상 또는 분만 후 손상, 자궁경부손상, 이전 임신 제2삼분기 조산 등이 있다

 

임상 증상은 뚜렷하지 않고, 골반통, 압박감, 내려앉는 느낌 등의 모호한 증상을 보인다.

 

진단은 임신 제 2삼분기 이후에 반복되는 임신소실의 병력이 있거나, 또는 자궁 수축 없이 임신 2삼분기 이후에 자궁목이 개대 또는 소실되었을 경우, 초음파상 자궁관이 점점 짧아지고 자궁목관 무력증을 의심할 병력이 있는 경우, 초음파 검사에서 자궁목관이 짧아지고 깔때기 모양을 보일 때 진단 가능하다.

 

여기서 짧은 자궁목이란 2.5cm 미만을 이야기한다.

 

치료는 결찰술이 주를 이루며, 맥도날드/쉬로드카 결찰술이 사용된다.

 

예방적으로 임신 10-16주 사이에 원형결찰술을 시행할 수 있고,

선천적으로 짧거나 절단된 자궁목, 이전의 결찰술로 상흔이 남은 경우, 자궁목의 손상이 심한 경우, 치유되지 않는 질천공 등등이 있어 결찰술로는 안될때는 복식 결찰술을 임신 10-14주 사이에 시행할 수 있다.

 

이 외에 긴급 원형결찰술은 임신 24주 이전에 자궁목이 짧아지는 초음파 양상 (25mm 이하, 깔때기형 변화)가 보이는 경우 16-24주 사이에 시행한다.

 

응급 원형결찰술은 임신 제 1삼분기 이후에 자궁목이 소실되고, 개대되며 양막이 나왔을 경우 시행한다.

 

내과적 치료로 progesterone, BB 등등이 있지만 병원에서 흔히 보는 것은 뭐니뭐니해도 absolute bed rest 이다.

 

 

 

 

 

반응형

WRITTEN BY
분홍오리
배우고 싶고 나누고 싶은 밍밍이 건강, 의학 지식과 정보를 공유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