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실기 시험이 얼마 안 남아서 학교에서 봉합 연습을 포함한 몇몇 술기를 열어주셨다!! 이럴땐 잽싸게 해야지

오늘 처음 알게된 내용은 니들 홀더 크기 선택도 점수에 들어가나보다... 이걸 술기담당쌤이 설명해주고 가셨다

바늘이 18mm가 있고 26mm가 있는데 큰 바늘은 큰 니들 홀더를 선택해야 한다는 게 요였다. 작은 바늘은 작은 니들홀더라고 해서 저렇게 나란히 사진을 찍었다

근데 큰바늘이 주로 나오니 혹시 모르면 가장 큰 니들홀더!!! 를 고르라고 팁을 주셨다

봉합 해도해도 어렵다
왜 나는 1대1로 봉합이 안되는가
열심히 해야겠다 ㅠㅠ
반응형

WRITTEN BY
분홍오리
배우고 싶고 나누고 싶은 밍밍이 건강, 의학 지식과 정보를 공유합니다

,
반응형
이번에 강릉-정동진 여행을 하는데 짐보관에 대한 게시글이 없어서 찌는 글

결론부터 말해보면 정동진역에 셔틀버스 타는 곳에 (기차역 말고!) 보관함이 있다

운영시간은 오전 10시반부터 오후 10시반
그러나 밤 12시 이후 추가요금을 뗀다는 걸로 봐서 아마 저 시간 내에 짐을 넣어두면 된다는 뜻 같다


젤 밑에 오른쪽 두개는 캐리어가 들어갈만큼 넉넉하다!!

비밀번호 말고 지문 인식 시스템이다
현금 말고 카드로 결제할 수도 있다

우리같은경우는 짐을 다 넣고 문이 안 잠겼는데 그 때 표지판에 문의를 할 수 있는 핸드폰 번호가 있으니 그리로 연락하면 된다


요금표
우리는 4000원을 썼다

짐 잘 맡기시고 즐거운 여행  되시길!!
반응형

WRITTEN BY
분홍오리
배우고 싶고 나누고 싶은 밍밍이 건강, 의학 지식과 정보를 공유합니다

,
반응형

c.c 폐경이 온 것 같아요(53/F)    BP 126/85, PR 72, RR 12, BT 36.4°

6개월 전부터 월경이 없었음. 1년 전부터 월경이 불규칙, 양이 적어졌음 (3-4). 하루에 3-4회씩 얼굴이 화끈거리고, 식은땀이 났음. 밤에 잠을 잘 못 자는 때가 많아서 뒤척였음. 평소보다 더 피곤하고 짜증이 많아졌음. 증상은 다시 생기고 사라지기를 반복.

호르몬 요법을 받을 수 있는지

Medication: 고혈압약

Social history: smoking (+, 0.2x 5)

Family history: 여동생이 양성 유방 결절로 유방 수술.

OP history: 거대 자궁근종으로 43세 때 근종 떼어냄

P/E: 질 점막의 주름 소실, 질벽 창백

 

황금오리가 되고 싶은 분홍오리 http://goldenduck.tistory.com

채점 항목

Check

의사 소개, 환자 확인, 친목 다지기를 수행하였음

 

LMP

 

월경의 규칙성

 

얼굴이 화끈거리는지

 

평소 월경 (regularity, amount, dysmenorrhea)

 

피임 여부/방법

 

G-P

 

Associated symptoms: 식은땀, 두근거림, 성교통, 질건조증, 관절통, 근육통, 무력감, 불면증, 의욕 상실, 우울, 짜증 등

 

Past medical history: 특히 유방암, 자궁내막암, 간질환, 심혈관질환, 색전증

 

Medication

 

부인과 수술력

 

가족력: 심혈관질환, 유방암, 골다공증, 조기폐경, 혈전증

 

정기적인 건강검진 여부 혈당, 혈압, 콜레스테롤 이상 여부

 

평소 식습관, 흡연력, 음주력, 운동

 

, 몸무게, 허리둘레 측정

 

갑상선 진찰

 

유방 시진, 촉진

 

심장 진찰

 

양다리 시진, 촉진 (정맥류, 오목부종 등 확인)

 

골반진찰

 

의심되는 질환과 원인에 대해 설명

 

진단에 필요한 검사를 설명하고 동의 구하였음

 

검사 결과에 따른 치료 계획 설명

 

치료에 따른 경과와 주의사항 설명

 

 

 

 

케이스 설명                황금오리가 되고 싶은 분홍오리 http://goldenduck.tistory.com

 

HRT/OC의 금기증

절대적 금기증

상대적 금기증

혈관염, 혈전색전, 뇌혈관질환, 관상동맥질환

간기능의 심각한 저하

유방암

진단되지 않은 질출혈

임신

35세 이상의 흡연자

편두통, 고혈압

자궁근종

기왕의 임신성 당뇨병, 당뇨병

수술예정

간질

임신성 발생한 폐쇄성 황달, 담낭질환

 

케이스 환자의 경우 흡연자이므로 HRT 금기임

HRT를 시행할 수 없는 경우: SSRI, SNRI, gabapentin 등을 사용

 

Q. 흡연자가 아닐 경우?

à 자궁이 있기 때문에 E+P (복합경구피임약)

 

Q. 자궁을 절제하고 난소만 있는 환자에서의 HRT?

à estrogen만 써도 됨. 자궁이 남아있으면 progesterone도 같이 써야 unopposed estrogen 막음

 

Q. HRT 적응증에 해당하는 환자에서 할 검사는?

à pap smear, LFT, 지질검사, 혈압 측정, (자궁내막생검)

 

친구들과 연습해보시라고 파일 첨부합니다.

 

폐경.pdf

사진은 마카오에서 걷다가 찍은 사진

반응형

WRITTEN BY
분홍오리
배우고 싶고 나누고 싶은 밍밍이 건강, 의학 지식과 정보를 공유합니다

,
반응형

c.c 허리가 아파요   이름: 장안나                     30세 여환. V/S BP 116/62 PR 77 RR 11 BT 36.2

허리가 심하게 아프고 신경쓰여서 내원. 앉아서 일하는 직장인인데 일에 집중할 수가 없음. 신경이 쓰임.

허리가 아픈 양상은 뻐근. Radiating (-). VAS 4. 완화/악화 요인 없음. Localizing 불가. 그냥 아픔.

이전에도 이런 적이 있었고 5일 정도 갔음. 한 달에 한 번 정도 있음. Cyclic pain.

Associated symptom: 허리가 아플 때 가슴도 많이 아픔. Dyspepsia (+), constipation (+)

LMP 3주 전. Married. G0P0. 월경통 심함. 아기도 안 생김 그래서 더 짜증남.

Mood에 대해 물어보면 특별히 허리가 아플 때 더 우울하고 불안함. 아플 때 직장 동료와 많이 싸움.

P/E 골반진찰 특이소견 없음. 허리진찰 특이소견 없음. 전부 정상.

 

 황금오리가 되고 싶은 분홍오리 http://goldenduck.tistory.com

채점 항목

Check

의사 소개, 환자 확인, 친목 다지기를 수행하였음

`

Onset, duration 에 대하여 물어보았음

 

Location, radiation

 

Severity (VAS)

 

Recent trauma history (운동 포함)

 

Aggravating/relieving factor

 

Character of pain (찌르는 듯, 전기가 통하는 듯, 둔하고 뻐근)

 

Course (진행하는지, 그대로인지, 주기적으로 아픈지, 특정 시간이나 활동할 때 아픈지)

 

Weight loss/fever

 

,소변 볼 때 불편한지 – R/O 말총증후군

 

다리가 저리는 증상

 

Motor weakness /sensory abnormality

 

Medication

 

Past medical history

 

통증 부위 시진, 촉진(압통 확인)

 

척추의 만곡 정도 확인

 

복부 진찰

 

DRE

 

여성은 골반진찰 – R/O PID

 

CVAT

 

허리뼈 관절가동 범위 확인, 양다리 가동범위, 양다리 근력, 양다리 감각이상, DTR

 

보행검사

 

하지직거상검사

 

의심되는 질환과 원인에 대해 설명

 

진단에 필요한 검사를 설명하고 동의 구하였음

 

검사 결과에 따른 치료 계획 설명

 

치료에 따른 경과와 주의사항 설명

 

염두에 둔 진단명: PMS, endometriosis

 

케이스 설명

 

1. Premenstrual syndrome

- 정의 : 월경 전에 발생하여 월경이 시작되면 사라지는 기분, 행동, 신체적 증상을 총칭하는 것.

- 증상: 정말 모든 불편한 증상이 될 수 있음. 특히 기분 증상(짜증남, 불쾌함, 예민함) 등이 환자들이 호소하는 주 증상이지만, 행동 증상(흥미 감소, 피로, 집중력 감소, 불면, 유방 압통, 복부 부종) 등이 있을 수 있다.  

- 진단

Diagnosis of Premenstrual Syndrome From American College of Obstetricians and Gynecologists (ACOG) Practice Bulletin 15, 2001.

Presenting symptoms:

Consistent with premenstrual syndrome

Restricted to the luteal phase

Cause impairment or distress

Not an exacerbation of another disorder

Confirmed by 2 cycles of daily symptom rating

- 치료: SSRI(Citalopram, Escitalopram, Fluoxetine, Paroxetine, Sertraline), SNRI(Venlafaxine)

 

2. 자궁내막증(Endometriosis)

-정의: 자궁 박에 자궁내막 조직이 존재하는 것.

-위험인자: 불임, 이른 초경, 짧은 원경 주기, 과다월경, 비출산, DES 노출, 자궁내막증의 가족력, 고지방식이

-증상: 불임, 월경통, 성교통, 만성 골반통

-초음파 검사: 신체 검사랑 초음파 검사에서 특별한 것이 안 보일 수 있다. 난소에 ground glass echogenicity를 보이는 fluid가 보일 수 있다 (chocolate cyst).

-Lab: CA-125가 증가 (그러나 감염, , 생리 등 다른 요인에서도 증가됨)

-확진: 복강경

-수술적 치료: 비정상 조직을 제거하고 유착을 박리하고 난소를 원래 자리로 돌려둠.

-내과적 치료: 피임약, NSAID, progestin, danazol, gestrinone

 

친구들과 연습해보시라고 파일 올립니다

back pain.pdf

 

반응형

WRITTEN BY
분홍오리
배우고 싶고 나누고 싶은 밍밍이 건강, 의학 지식과 정보를 공유합니다

,
반응형

c.c 걸음걸이가 이상해요             43세 남환. V/S BP 160/92 PR 67 RR 15 BT 36.2

점차 진행하는 보행장애를 주소로 내원. 증상은 5개월 전부터 시작. 초기에는 계단을 오르내리거나 뛸 때만 중심이 휘청거리는 느낌이 들었지만, 최근에는 평지에서도 중심을 똑바로 잡지 못하고, 넘어지는 일이 잦아짐. 건망증이 최근들어서 더 심해짐. 2개월 전부터 요실금이 생김. Urgency (+), frequency (+)

Past history None, Family history None. Medication None.

Tremor (-). Judgement impairment (-) 성격 변화 (-) 이상 행동 (-) dysarthria (-)

P/E) motor/sensory/DTR normal. Cerebellar function test normal. No rigid face. No bradykinesia.

혼자 앉아 있을 수는 있지만, 평지 보행에서 두 발을 넓게 벌리고 걷고, 보폭의 변동이 심하고, 양측으로 흔들리는 보행 실조증. 방향을 바꿀 때 비틀거림 심함. 일자보행에서 전후 좌우로 넘어짐. Romberg (+).

Babinski absent.

 황금오리가 되고 싶은 분홍오리 http://goldenduck.tistory.com

채점 항목

Check

의사 소개, 환자 확인, 친목 다지기를 수행하였음

`

Onset(acute/slow onset), character 에 대하여 물어보았음

 

예전에도 이런 적 있는지, 처음에 비해 악화되었는지/똑같은지

 

동반증상(넘어짐, 손떨림, 직립자세 불균형, 어지럼증 등)에 대해 물어보았다.

 

서 있기가 힘든지 걸을 때 힘든지. 서서 술 취한 듯 흔들리는지, 넘어질 것 같은지

 

악화인자(어두운 곳), 완화인자에 대해 물어보았다.

 

가만히 있을 때 손이 떨리는지

 

말이 어눌함, 팔 다리 힘이 빠지는 증상, 시야장애, 두통, 떨림 등이 동반되는지

 

요통, 관절통이 있는지

 

허리를 굽히기 힘들거나 아픈지

 

감각 이상이 있는지

 

Past medical history (특히 DM) – R/O 말초신경병증

 

Bradykinesia, tremor, 몸이 뻣뻣해지는지 – R/O 파킨슨

 

이전에 비해 기억력이 나빠졌는지 – R/O 정상압수두증

 

대소변 보는데 문제는 없는지 – R/O 정상압수두증

 

Medication

 

Social history – alcohol, smoking

 

환자를 서게 하고 균형 유지가 이루어지는지 확인, Romberg test 시행

 

보행검사 실시 (그냥 걷기, 일자로 걷기, 발끝으로 걷기)

 

뇌신경검사 실시, motor/sensory 검사

 

소뇌기능검사 실시

 

운동 완만, 손떨림, 톱니바퀴 경축, 자세 불안정 확인 – R/O 파킨슨

 

이마엽 원시반사검사 실시 – R/O 물뇌증

 

의심되는 질환과 원인에 대해 설명

 

진단에 필요한 검사를 설명하고 동의 구하였음

 

검사 결과에 따른 치료 계획 설명

 

치료에 따른 경과와 주의사항 설명

 

염두에 둔 진단명: Normal pressure hydrocephalus

케이스 참고

http://jkna.org/upload/pdf/201403014.pdf

 

케이스 설명

 

0. Normal pressure hydrocephalus

- 정의 : gait disturbance, cognitive decline, incontinence triad를 특징으로 하고 뇌압은 정상인 communicating adult-onset hydrocephalus

- 원인: trauma, infection, or subarachnoid hemorrhage로 인해 발생하기도 하지만 50%에서 원인을 모름

- 보행 이상: apraxic gait—발을 떼지 못하지만 motor는 정상. Reflex는 정상이거나 살짝 증가, Babinski absent. 파킨슨병과 보행이 비슷하게 보이기도 함.

- 특징: 많은 환자에서 고혈압이 동반됨

- 진단: 진단은 어렵고 CT, MRI 등이 감별진단에 도움이 됨.

- 치료: CSF 배액은 보행 장애를 호전 시키는데 도움이 되지만 요실금, 인지 장애를 호전 시키지는 못함.

 

 

gait abnormality.pdf

친구들과 연습해보시라고 자료 올립니다.

 

사진은 홍콩 스탠리

반응형

WRITTEN BY
분홍오리
배우고 싶고 나누고 싶은 밍밍이 건강, 의학 지식과 정보를 공유합니다

,
반응형

Heart Failure Review– Harrison’s internal Medicine 19th

 

1.     정의

ACCF/AHA 가이드라인의 심부전에 대한 정의는, 심실 충만 또는 혈액 박출의 구조적 또는 기능적 장애로 인하여 나타나는 복잡한 임상적 증상으로서, 피로, 숨참 등의 증상과 부종, rale 등의 징후가 나타나는 질환이다.

2.     Epidemiology

심부전은 나이가 들면서 더 많이 발생하고, 65세 이상에서 6-10%정도에서 발생한다. 심부전의 발생 빈도 자체는 남자보다 여자에서 낮지만, 여성은 상대적으로 수명이 길기 때문에 전체 심부전에서 여성이 반수 이상을 차지한다. 심부전을 진단받은 환자 중 약 반수는 정상 또는 비교적 보존된 ejection fraction(50% 이상)을 보이기 때문에, 심부전은 현재 heart failure with a reduced EF(HFrEF, 과거에 systolic failure로 불렸음), heart failure with a preserved EF(HFpER, 과거에 diastolic failure로 불림)로 크게 분류되고 있다.

3.     Etiology

산업화된 국가의 경우 coronary artery disease(CAD)가 심부전을 일으키는 주된 원인(60-75%)으로 자리잡았다. 고혈압은 약 75%의 환자에서 심부전 발병에 기여하며, 당뇨병 역시 심부전 발생의 주요 위험 인자 중 하나이다. 바이러스 감염이나 독소 노출(항암화학요법이나 알코올) 등으로 인한 dilated cardiomyopathy도 심부전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High-output state의 경우는 단독으로 심부전의 원인이 되는 경우는 드물지만, 기저 구조적 심질환이 있는 경우에 심부전으로 빠질 위험이 다른 사람에 비해 증가하는 편이다.

3국가의 경우에는 rheumatic heart disease, hypertension, chagas’ disease 등이 심부전의 주요 원인을 차지한다.

-       Depressed Ejection fraction HF (<40%): coronary artery disease(MI), chronic volume overload, chronic lung disease, chronic pressure overload(hypertension, obstructive valvular disease), Nonischemic dilated cardiomyopathy, toxic/drug-induced damage, disorders of rate and rhythm

-       Preserved Ejection fraction (>40-50%): pathologic hypertrophy, restrictive cardiomyopathy, fibrosis, endomyocardiar disorders, aging

-       High output states: metabolic disorders(thyrotoxicosis), nutritional disorders(beriberi), excessive blood flow requirements, chronic anemia

4.     예후

증상이 있는 심부전의 경우 예후가 나쁜 편이다. 30-40%의 환자는 진단 후 1년 내에 사망하고, 60-70%의 환자는 진단 후 5년 이내에 사망한다. 사망의 원인은 심부전의 악화나 급사(ventricular arrhythmia )이다. NYHA II 환자의 경우 연간 사망률이 5-10%에 달하는데 반해, NYHA IV의 경우에는 연간 사망률이 30-70%에 달한다. 따라서 환자의 기능적 상태가 예후를 잘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5.     Pathogenesis

심부전은 심근을 손상시키거나 심근의 수축력을 떨어뜨리는 “index event” 이후에 나타나는 진행성 장해(progressive disorder)로 볼 수 있다. 여기서 “index event”는 급격하게 발생하는 MI volume overload와 같이 점진적으로 발생하거나, genetic cardiomyopathies처럼 유전적으로 발생하는 질병이 될 수 있다. 이러한 “index event”는 심장의 펌프 능력의 감소를 가져오고, 심장의 기능 장애가 생긴 뒤 일정 시간이 지나고서야 환자에게 증상이 생긴다.

-       Depressed ejection fraction Heart failure: 심장의 펌프 기능의 감소가 생긴 뒤에 adrenergic nervous system, RAAS system, cytokine system 등의 보상적 매카니즘이 작용하게 된다. 또한 vasodilatory molecule(ANP, BNP, prostaglandins, NO) 등의 작용으로 말초 혈관의 이완이 일어난다. 단기적으로는 환자가 증상이 없이 정상 기능을 유지할 수 있게 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이러한 보상 매커니즘은 오히려 심실 내의 secondary end-organ damage를 초래하고 LV remodeling으로 이어지며 cardiac decompensation이 일어나게 된다.

-       Preserved ejection fraction Heart failure: 처음에는 diastolic dysfunction이 단독 원인으로 주목받았지만, increased vascular stiffness나 신기능 손상 등의 심장 외의 메커니즘 등이 원인이 될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6.     Basic Mechanisms of Heart failure

(1)   Heart failure with a reduced ejection fraction

(1)  myocyte hypertrophy

(2) alterations in the contractile properties of the myocyte

(3)  progressive loss of myocyte

(4) beta-adrenergic desensitization

(5) abnormal myocardial energetics and metabolism

(6) myocyte 주변의 ECM의 재조직화

 -->

LV remodelling

위의 LV remodelling에 관여하는 biologic stimuli에는 stretch of the myocyte, circulating neurohormone(NE, angiotensin II), inflammatory cytokines 등이 있다. 이런 물질들이 과발현되고 오랜 시간이 지속되면 심부전이 진행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근거로 심부전 진행을 막기 위하여 RAAS를 막는 약제, 베타 차단제를 쓰는 등의 치료적 중재를 하게 된다.

LV remodelling은 좌심실의 크기, 용적, 모양, 구성이 심장 손상이나 비정상적 혈역학적 부하 이후 바뀌는 것일 이야기한다. LV end-diastolic volume이 증가되고, 좌심실이 확장되면서 벽이 얇아지게 된다. 좌심실의 벽이 확장되고 얇아지는 반면 좌심실의 후부하는 높아지게 되는데 이는 “afterload mismatch”이고, stroke volume이 더 낮아지는 결과를 가져온다. 또한 확장기말의 높은 wall stress (1)hypoperfusion of subendocardium à worsening LV function (2) 산화 스트레스의 증가 (3) stretch-activated gene의 지속적 발현(angiotensin II, endothelin, TNF) 또는 hypertrophic signaling pathway의 활성화를 초래한다. LV dilation papillary muscle tethering을 초래하고 이로 인해 기능적 MR이 생길 수 있다. 결론적으로 LV remodeling 자체는 심부전이 이행하기에 적합한 기계적 부하를 초래한다. 따라서 악순환을 막을 수 있는 약물 치료로 임상 결과의 호전을 가져올 수 있다.

7.     임상 증상

(1)   피로, 숨참

피로는 cardiac output의 감소로 나타날 수 있지만 빈혈 등 다양한 심장 외 문제로 나타날 수 있다.

심부전의 초기에는 활동을 할 때만 숨이 차지만, 질병이 진행하면서 강도 낮은 활동에도 숨이 차게 되고 종국에는 가만히 있어도 숨이 차게 된다. 숨이 차게 되는 기전으로 가장 중요한 것은 interstitial/intra-alveolar fluid의 축적으로 pulmonary congestion이 나타나기 대문이다.

(2)   Orthopnea, nocturnal cough

심부전의 후기에서 나타나는 증상이다. 전부하가 높아져서 pulmonary capillary pressure가 높아져서 발생한다. 앉아 있으면 호전된다.

(3)   Paroxysmal nocturnal dyspnea, cardiac asthma

밤에 깨서 기침을 하고 쌕쌕거리는 증상이고, 앉아 있음으로써 호전되지 않는다.

(4)   Cheyne-strokes respiration

낮은 심박출량과 연관되어 있다. 호흡 중추가 동맥의 Pco2에 더욱 민감해져서 발생한다. Hypehyperventilation & hypocapnea –apnea의 반복이 특징적이다.

(5)   기타 증상

소화기 증상(anorexia, nausea, early satiety, abdominal pain) – 장의 부종과 간의 울혈로 발생

Confusion, disorientation, sleep, mood disturbances, nocturia, insomnia

8.     신체 진찰 소견

-       General appearance and vital signs

증상이 경한 심부전에서는 눕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환자가 특별히 힘들어 보이지 않는다. 진행된 심부전에서는 앉아 있어도 숨이 차고, 숨이 찬 나머지 한 문장을 다 말할 수 없을 수 있다. 조기 심부전에서는 수축기 혈압이 정상이거나 약간 높지만, 말기 심부전에서는 LV dysfunction으로 혈압이 낮아진다. Adrenergic activity의 증가로 sinus tachycardia, peripheral vasoconstriction, cool extremities, 입술과 손톱의 청색증이 나타날 수 있다.

-       Jugular veins

JVP로 우심방의 압력을 알 수 있다. 휴식시에는 JVP가 정상일 수 있으나 복부에 15초간 압력을 가할 시 올라갈 수 있다. Giant V wave TR의 존재를 의미한다.

-       Pulmonary examination

Pulmonary crackles, rales & expiratory wheezing(pulmonary edema), pleural effusions

만성 심부전에서는 rale이 들리지 않는데 이는 alveolar fluid의 림프 배액이 촉진되어서 그렇다.

-       Cardiac examination

Cardiomegaly, displaced point of maximal impulse, S3(volume overload with tachycardia and tachypnea), S4(diastolic dysfunction), heart murmur

-       Abdomen and extremities

Hepatomegaly, enlarged liver, ascites, jaundice, elevated direct/indirect Bb, peripheral edema

-       Cardiac cachexia

Marked weight loss and cachexia: 휴식시 대사율의 증가, 울혈성 간비대와 복부 팽만감으로 인한 anorexia, nausea, vomiting, 염증의 증가

9.     Diagnosis

전형적인 임상 징후와 증상을 보여야 하며, 심부전에 적합한 검사 결과가 있어야 한다.

Lab CBC, electrolyte, BUN, Serum Cr, hepatic enzymes, urinalysis, 혈당검사, 지질검사, thyroid function test를 하게 된다.

EKG LV hypertrophy, prior MI 등을 보게 되고 심전도가 정상인 경우 LV systolic dysfunction은 배제할 수 있다.

Chest x ray로 심장과 pulmonary vasculature를 관찰한다. 급성 심부전의 경우 pulmonary hypertension, interstitial edema, pulmonary edema를 보이지만 만성 심부전은 대부분 그렇지 않다.

진단을 위해서는 noninvasive cardiac imaging – echocardiography가 핵심적이다. 좌심방의 확장과 좌심실의 비대가 있으며 좌심실의 diastolic filling에 이상이 있으면 HFpEFdp 해당한다. 우심실의 크기와 pulmonary pressure를 재는 것은 cor pulmonale의 진단에 필요하다. MRI도 진단에 유용하다.

HFrEF에 민감한 marker로는 BNP NT-pro BNP가 있고, 이는 HFpEF에서도 약간 증가되어있다. 또한 만성 심부전에서는 예후와 severity를 결정하는 주요 지표가 되며, 적절한 약물 용량을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하지만 나이가 들거나 신장 기능이 좋지 않을 때 natriuretic peptide가 증가하며, 여성에서 농도가 더 높을 수 있으며, 우심실부전에서 지표가 상승한다는 사실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비만한 환자에서는 농도가 낮게 나타날 수 있다. 새로운 지표로는 soluble ST-2, galectin-3가 있다.

심부전이 있는 환자에서 운동 검사는 권장되지 않지만 심장 이식을 받을 환자에서 평가의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peak oxygen uptake(VO2)<14ml/kg는 나쁜 예후와 연관되어 있으며, 약물 치료보다 이식으로 도움을 받을 수 있다.

10.  Management

-       HFrEF: ACEi & BB (survival benefit). Beta blocker carvedilol, bisoprolol, metoprolol. Aldosterone antagonists (survival benefit, spironolactone – hyperkalemia 주의, CKD에서 주의). ARB+ACEi는 추천하지 않음. Hydralazine or nitrate(survival benefit, ACEi ARB만큼 효과적이지는 않지만 이 약제를 사용할 수 없는 환자에서 좋음.)

Digoxin therapeutic range가 좁아서 위험. 2nd line으로 ivabradine을 사용할 수 있음.

CCB는 사용이 필요한 경우 amlodipine or felodipine. Verapamil이나 diltiazem은 사용하면 안됨.

 

 

반응형

WRITTEN BY
분홍오리
배우고 싶고 나누고 싶은 밍밍이 건강, 의학 지식과 정보를 공유합니다

,
반응형

c.c 손이 떨려요 (2년 전부터 시작)   18세 남환. V/S BP 118/63 PR 67 RR 15 BT 36.2

2년 전부터 시작된 오른쪽 손의 떨림으로 내원. 떨림은 점점 더 심해졌으며, 왼쪽 손으로도 퍼지고 머리, 다리 등도 떨리기 시작하여 내원. 최근들어 더 잘 잊어버리고 학교 성적이 급격히 나빠짐.

먹는 약: 우울증이 있어서 우울증약을 먹고 있음. 화가 나면 잘 참지 못함.

FHx: 아버지 50세이고 치매.

악화 인자: sustained abduction of the arms, with flexed elbows and palms facing downward

Dysarthria (+) fatigue (+) dyspepsia (+)

P/E) Motor exam – generalized hypertonia, wing-beating tremor

– kayser-fleischer ring in both eyes

 

눈 진찰시 보여줄 사진

 

사진 출처: http://www.nejmcareercenter.org/job/142161/permanent-internal-medicine-physician-job-in-nevada-california/?query=fjwp&rid=714

 

 황금오리가 되고 싶은 분홍오리 http://goldenduck.tistory.com

채점 항목

Check

의사 소개, 환자 확인, 친목 다지기를 수행하였음

`

Onset, character(구칙적인지, 손이 꼬이는지, 춤추는지, 움찔 등) 에 대하여 물어보았음

 

악화인자(긴장, 운동 후, 특정한 자세), 완화인자에 대해 물어보았다.

 

가만히 있을 때 손이 떨리는지

 

Bradykinesia, 종종걸음이 있는지 – R/O parkinson’s disease

 

글씨 쓸 때 손이 떨리는지 – R/O 본태 떨림

 

가족 중에도 떨리는 사람이 있는지 – R/O 본태 떨림

 

손발이 멍멍하거나 저린지 – R/O 말초신경병증

 

Past medical history (특히 stroke, head trauma)

 

Social history (특히 술)

 

Medication

 

땀이 자주 나고 가슴이 두근거리는지 – R/O 갑상샘항진증

 

Heat intolerance, weight loss – R/O 갑상샘 항진증

 

앉은 자세를 시진하여 떨림 확인

 

손이 떨리는 상황을 취하게 한 후 떨림 확인

 

팔을 앞으로 뻗게 하여 손떨림 관찰

 

환자에게 글시를 쓰게 한다

 

Finger to nose test, heel to shin 등 소뇌검사 시행

 

보행 검사 시행. 운동 완만/톱니바퀴경축, 자세 불안정이 있는지 확인

 

감각검사 시행

 

갑상샘 촉진

 

의심되는 질환과 원인에 대해 설명

 

진단에 필요한 검사를 설명하고 동의 구하였음

 

검사 결과에 따른 치료 계획 설명

 

치료에 따른 경과와 주의사항 설명

 

염두에 둔 진단명: Wilsons’s disease

Wing beating tremormultiple sclerosis, tumors, or stroke에서도 나타날 수 있다고 한다.

케이스 참고

https://www.nejm.org/doi/full/10.1056/nejmicm1312190

 

케이스 설명

 

0. Wilson’s disease

- 정의 : ATP7B gene의 돌연변이로 인해 나타나는 상염색체 열성 질환.

- 병태생리: ATP7B gene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생기면 biliary copper excretion에 문제가 생기고, 체내에 구리가 쌓이게 된다. 구리가 체내에 침착되며 산화 손상을 주게 된다. 간에서 구리는 처음에는 metallothionein에 붙어 있다가, 이 물질이 더 이상 구리를 수용하지 못하게 되면 간 손상이 시작된다.

- 특징: low ceruloplasmin.

- 증상

간 질환: hepatitis, cirrhosis, elevated serum aminotransferase levels, jaundice, hepatic encephalopathy,    hepatic failure

신경 질환: dystonia, incoordination, tremor, dysarthria, dysphagia, Autonomic disturbances(orthostatic            hypotension, sweating abnormalities, bowel, bladder, and sexual dysfunction), Memory loss,      migraine-type headaches, seizure, 집중력 떨어짐.

           sensory abnormality/muscular weakness는 나타나지 않음.

정신 질환: behavioral disturbance, loss of emotional control(temper tantrums, crying bouts), depression,            hyperactivity, loss of sexual inhibition

기타 증상: spontaneous abortions, amenorrhea, Cholelithiasis, nephrolithiasis, osteoarthritis, Microscopic            hematuria, Fanconi syndrome, Kayser-Fleischer rings

- 진단: reference – Harrison’s internal medicine, 19th

Test

Usefulnessa

Normal Value

Heterozygous Carriers

Wilson’s Disease

Serum ceruloplasmin

+

180–350 mg/L (18–35 mg/dL)

Low in 20%

Low in 90%

Kayser- Fleischer rings

++

Absent

Absent

Present in >99% if neurologic or psychiatric symptoms are present

Present in 30–50% in hepatic presentation and presymptomatic state

Urine copper (24-h)

+++

0.3–0.8 μmol (20–50 μg)

Normal to 1.3 μmol (80 μg)

>1.6 μmol (>100 μg) in symptomatic patients; 0.9 to >1.6 μmol (60 to >100 μg) in presymptomatic patients

Liver copper

++++

0.3–0.8 μmol/g (20–50 μg/g of tissue)

Normal to 2.0 μmol (125 μg)

>3.1 μmol (>200 μg) (Obstructive liver disease can cause false-positive results.)

Haplotype analysis

++++ (siblings only)

0 matches

1 match

2 matches

Kayser-fleischer ring은 진단적 가치가 있으나, serum ceruloplasmin이 낮다고 다 진단할 수 있지 않음.

Urine copper measurement 역시 진단적 가치가 있고 중요. (levels >1.6 μmol (>100 μg) per 24 h)

진단의 gold standardliver biopsy이고, 정량적으로 copper를 생검물에서 잰다.

 

- 치료: penicillamine + pyridoxine. Trientine(less toxic)

신경학적 증상이 있을 경우 tetrathiomolybdate (TOC), 그 외 다른 약제 쓰면 신경학적 증상이 악화됨

 

 

tremor case.pdf

친구들과 연습해보시라고 자료 올립니다.

 

 

반응형

WRITTEN BY
분홍오리
배우고 싶고 나누고 싶은 밍밍이 건강, 의학 지식과 정보를 공유합니다

,
반응형

1. Definition

HSP는 palpable purpura, 관절통(arthralgia), 소화기 증상과 징후, glomerulonephritis로 나타나는 small-vessel vasculitis이다.

자반은 주로 엉덩이, 하지 쪽에 분포한다. 

2. Pathophysiology

의심되는 병인은 면역 복합체의 침착 (immune-complex deposition)

상기도 감염, 약물, 음식, 벌레 물림, 예방접종 등이 유발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환자들의 신생검에서 IgA의 침착이 두드러진다.

 

3. 증상, 징후

- Skin: palpable purpura

- joint: polyarthralgia (no arthritis!)

- GI: nausea, vomiting, diarrhea, constipation, hematochezia, intussusception

Renal: mild glomerulonephritis(proteinuria, microscopic hematuria, red blood cell casts)

어른에서는 skin and joint 증상이 두드러짐.

Lab: leukocytosis, eosinophilia, elevated IgA

 

4. 진단

임상 증상과 징후로 진단. skin biopsy에서 leukocytoclastic vasculitis with IgA and C3 deposition을 확인할 수 있다.

예후를 알기 위해 renal biopsy를 할 수도 있다. (필수 아님)

 

5. 치료

prednisone - 1mg/kg per day -->> taper

 

Reference: 해리슨 19판

 

사진은 염창역 카자르 커피
오늘 와플을 서비스로 주셨다 ♡ 사람 없고 분위기 좋은 곳

 

반응형

WRITTEN BY
분홍오리
배우고 싶고 나누고 싶은 밍밍이 건강, 의학 지식과 정보를 공유합니다

,
반응형

Relationship between Clinic and Ambulatory Blood-Pressure Measurements and Mortality

NEJM 논문입니다



Introduction

24시간 혈압 측정은 병원에서 재는 혈압보다 일중 혈압 변동을 더 포괄적으로 평가하고 health outcome을 더욱 잘 대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기존의 연구는 24시간 혈압측정, 병원 혈압 측정, white coat hypertension, masked hypertension 등의 임상 결과의 차이를 도출하지 못하였으나, 이 연구는 다양한 혈압 측정 차이의 사망률과 심혈관계 예후 지표로서의 가치를 평가한다.

Method

-       Study population: Spanish Ambulatory Blood Pressure Registry에서 18세 이상이며, 24시간 혈압을 재는 적응증에 해당하는 환자군 (white coat hypertension, refractory or resistant hypertension, high-risk hypertension, labile or borderline hypertension, 고혈압 약효 확인, circadian blood-pressure patent 확인을 위한 연구 등) – Table 1

-       혈압 측정: 표준화, 자동화된 oscillometric device 사용하여 5분 휴식 후 측정. 주간에는 20분 간격으로, 야간에는 30분 간격으로 측정.

-       환자 정보: 각 의료시설에서 의무 기록을 통해 physical examination, clinical record 확보

-       Mortality Data: 스페인 국가통계기관에서 생존 여부, 사망 일시 확인. 연구에는 cardiovascular origin death를 모두 포함시켰으며, 이 중 ischemic heart disease/heart failure인 것을 세분화하여 표기.

-       기간: 혈압 측정에 최초 등록된 시점부터 (2004 3 1일 이후) 2014 12 31일까지

-       통계 분석: 고혈압 표현형은 4가지로 분류하였다 (white coat hypertension, masked hypertension, sustained hypertension, normotension). 고혈압과 사망률의 관계는 Cox model을 사용하여 hazard ration, 95% CI로 표현되었다. 고혈압 표현형에 따라, BP 1SD 증가할 때마다 사망률의 증가를 측정하였고, reference group은 혈압이 정상인 그룹으로 설정하였다.

Cox model 1: 나이, 성별, 흡연 유무, BMI, DM, dyslipidemia, cardiovascular disease history,고혈압 약제 사용 개수 등을 사용하여 보정.

Cox model 2: 측정된 혈압의 독립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진료실에서 잰 혈압을 24시간 측정한 혈압으로 보정하였고, 24시간 측정한 혈압은 진료실에서 잰 혈압으로 보정하였다. 주간 혈압은 진료실과 야간 혈압으로 보정하고, 야간 혈압은 진료실과 주간 혈압으로 보정하였다. 고혈압 각각의 표현형에 따른 Hazard ration는 진료실 혈압으로 보정되었다.

또한 혈압이 1SD 상승할 때마다 동등한 mortality rate를 가지기 위한 시간(chronological age)를 계산하였다.

Sensitivity analysis가 시행되었다. SPSS를 사용하여 통계 처리를 하였다.

Results

추적 관찰 중 (중간값: 4.7) 63,910 3808건의 사망이 있었다. 이 중 1295건은 cardiovascular cause였고 그 중 440건은 IHD, 291 stroke, 123 heart failure에 기인한 것이었다.

진료실 혈압과 24시간 혈압은 대개 일치하는 경향을 보였고(moderately concordant, correlation coefficient 0.57 for systolic, 0.70 for diastolic),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인자로 보정한 혈압 수치는 mortality(cardiovascular origin 외에도 다른 원인 포함)와 상당한 연관성을 보였다. 하지만 진료실 혈압의 경우 24시간 혈압으로 보정하였을 때는 mortality 예측력이 떨어졌다(모든 사망의 HR은 보정 전 1.54, 보정 후 1.02). 이와 반대로 24시간 혈압은 진료실 혈압으로 보정하여도 큰 차이가 없었다(보정 전 후 모두 HR 1.58). 심혈관계 위험 인자로 층화 분석한 결과도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원인이 확실한 심혈관계 유발 사망(IHD, stroke, HF)의 경우 24시간 수축기 혈압이 더욱 강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Cox model 1 24시간 측정한 혈압이 진료실 혈압보다 더 나은 통계적 차별(discrimination)을 보였다. 예측력도 24시간 혈압을 포함한 모델이 더욱 좋았다. 진료실 측정 혈압을 24시간 혈압 데이터로 보정하였을 때, mortality와 수축기 혈압간의 관계에 대한 예측력과 차별화가 더 좋아졌다. 하지만 24시간 혈압을 진료실 혈압으로 보정하였을 때에는 변화가 거의 없었다. 이완기 혈압과 mortality의 상관관계에 있어서는 진료실 혈압을 24시간 혈압으로 보정하였을 때 차별화가 개선되지 않았다.

모든 고혈압 표현형을 평가해 보았을 때 masked hypertension all-cause mortality와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고, 가장 높은 위험도를 보였다(HR 2.83). 이와 비교하여 sustained hypertension HR 1.80, white-coat hypertension HR 1.79 였다. 치료를 받은 환자군의 결과는 치료 받지 않은 환자군과 유사하였다. 보정 후의 누적 사망률에서는 masked hypertension이 가장 강력한 위험 예측인자였다.  Masked uncontrolled hypertension controlled hypertension 군과 비교되었을 때 모든 사망에 대한 HR 2.61(CI 2.14-3.17), 심혈관계 원인에 의한 사망은 HR 2.48이었다.

진료실의 수축기 혈압이 1SD 증가할 때마다 증가하는 사망률을 시간으로 계산하면 1.4년의 노화로 환산되었는데, 24시간 혈압이 1SD 증가할 때마다는 8.5-10.2년의 노화로 환산되었다. Masked hypertension이 가장 긴 rate advancement period와 관련이 있었다. 치료 받는 환자군에서 rate advancement period가 조금 적었고, cardiovascular mortality에 대한 결과값은 비슷하였다.

모든 사망에서 가장 많은 분율을 차지한 고혈압 표현형은 sustained hypertension(7.9%), 그 다음은 masked hypertension(1.9%) 였다. 치료를 받지 않은 환자군에서 비율을 계산하였을 때 비율은 거의 두 배로 올라갔다. 하지만 cardiovascular death의 분율은 비슷하였다. 진료실에서 조절되는 혈압 중에서는, Masked uncontrolled hypertension이 모든 원인의 사망에서 33.3%를 차지하였다.

Discussion

24시간 측정 혈압이 진료실 혈압보다 모든 사망률 그리고 심혈관계 사망률을 더 잘 예측하는 인자였다. 또한 masked hypertension이 모든 사망, 심혈관계 사망과 더욱 강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하지만 모든 사망과 심혈관계 사망에서 더욱 높은 분율을 차지한 고혈압 표현형은 sustained hypertension이다. Cox model1은 심혈관계 사망률의 통계적 차별화에 적합한 모델이었지만, 모든 사망을 통계적으로 차별화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았다(아마 통계에 포함된 심혈관계 위험 인자가 전체 사망률에 더욱 기여하는 것 같다). Model 2에서 24시간 혈압으로 보정한 결과가 심혈관계 사망보다는 전체 사망률의 차별화를 개선하는 것은 아마도 model1이 심혈관계 사망률을 충분히 예측하기 때문일 것이다. 24시간 혈압과 모든 사망률의 연관성은 주간 혈압, 야간 혈압, 진료실 혈압을 포함한 다변량 보정(multivariate adjustment)을 하였을 때에도 결과가 같았다.

본 연구에서 이전의 연구와 차별화되는 점은, sustained hypertension보다 masked hypertension의 사망률이 지속적으로 높다는 점을 발견했다는 것이다. 이는 이 환자군에서 진단이 늦어지고 치료가 늦어져 고혈압에 기인한 신체 손상이 더 많이 나타나기 때문일 수 있다. 이전 연구에서는, white coat hypertension이 정상 혈압과 비슷한 위험도나 약간 높은 위험도를 보였지만, 본 연구에서 white-coat hypertension은 정상 혈압에 비해 확실히 더 높은 위험을 보였고, 24시간 혈압도 더 높은 편이었다. 치료를 받은 표현형의 경우 사망률과 더 약한 연관성을 보였는데, 이는 치료와 중재의 효과로 생각될 수 있다.

Masked uncontrolled hypertension subpopulation(treated hypertension + controlled clinic blood pressure who died)에서 높은 사망률을 보였지만, 전체 코호트 population중 사망자에서는 낮은 분율을 보였는데 이는 첫 번째 군(subpopulation)에서 masked uncontrolled hypertension의 수가 훨씬 많기 때문일 것이다. Rate advancement period masked uncontrolled hypertension의 임상적 의의를 가장 잘 설명하는데, 50살이고 masked uncontrolled hypertension인 경우 정상 혈압보다 14살 더 나이를 먹은 만큼 사망률이 높음을 보여준다.

Limitation

진료실 혈압이 오직 매 방문에서 두 번 잰 혈압의 평균이기 때문에 진료실 혈압이 원래 혈압보다 더 높게 나왔을 수 있다(반복해서 잴수록 혈압이 낮아지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는 임상 현실더욱 잘 반영하는 연구일 수도 있다.

유사한 한계점으로, 24시간 혈압이 각 환자에서 단 한번의 시점에 측정되었기 때문에 예측력(prognostic power)이 떨어질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두 번 24시간 혈압을 잰 환자들을 대상으로 reproducibility analyses를 진행하였을 때, 24시간 혈압은 각각의 측정에서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이 연구의 또다른 한계점은 24시간 혈압을 두 번 잰 환자들을 제외하고는, 추적 관찰 기간 동안에 복용한 약에 대한 정보가 없다는 것이다. 하지만 약물 정보가 있는 환자군들을 보았을 때 연구와 연관성이 있는 변수들이 약물 복용에 따라서 차이가 있지 않았다.

세 번째로, 24시간 혈압을 잴 필요가 있는 환자들을 모집하는 과정에서 selection bias가 있었을 수 있다. 하지만 본 연구에 포함된 환자군들의 심혈관계 위험 인자들은 다른 연구의 환자군과 비슷하다.

네 번째로, 이 연구는 혈압의 예후 인자로서의 유효성에 대한 관찰 연구로, 24시간 혈압 관리가 치료의 목표로 적합하다는 직접적인 상관관계는 도출할 수 없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인구 집단은 백인으로, 다른 인종에서는 결과가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에서 24시간 혈압, 주간 혈압, 야간 혈압은 진료실의 혈압보다 모든 사망률과 심혈관계 사망률을 더 잘 예측하였다. Sustained hypertension, white coat hypertension, masked hypertension은 모두 높은 사망 위험도와 관련이 있었고, 이 중 사망과 가장 강력한 연관성을 보였던 것은 masked hypertension 이다.

 


반응형

WRITTEN BY
분홍오리
배우고 싶고 나누고 싶은 밍밍이 건강, 의학 지식과 정보를 공유합니다

,
반응형

1. 정의

좌심실의 확장과 systolic function의 감소 (좌심실의 EF의 감소로 측정됨)

diastolic failure보다 systolic failrue가 두드러진다. 즉, 수축기 장애가 있는 질병이 DCM!

해리슨의 설명에 따르면 myocardial injury가 있을 때, 일부 myocyte는 죽는 반면 다른 myocyte는 살아남지만 apoptosis를 거친다. 그리고 끝끝내 남은 myocyte는 남은 친구들의 기능을 보완하기 위해 hypertrophy가 생긴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이 반복되며 병은 악화된다.

MR이 동반되기도 한다.

Harrison) dilated left ventricle with systolic dysfunction that is not caused by ischemic or valvular heart
disease.

 

2. 원인

Infection (virus, parasite, bacterial, etc)

Noninfective (sarcoidosis, polymyositis, collagen vascular disease, etc)

Toxic: alcohol, catecholamines, chemotherapeutic agents, interferons, lead, mercury, anabolic steroids

Metabolic: nutritional deficiencies (thiamine, selenium, carnitine), electrolyte deficiencies (Ca. P, Mg), endocrine disease, obesity

Familial

Overlap with nondilated cardiomyopathy

그 외 pregnancy, chronic uncontrolled tachycardia, anemia etc.

그외 다양한 원인은 해리슨 참조

 

3. 초음파 소견

- massive global dilation and thinning of the walls of the left ventricle

- Enlarged LA

- systolic ejection fraction의 감소

 

4. 임상 양상

심부전과 부정맥 증상

dyspnea, fatigue, orthopnea, paroxysmal nocturnal dyspnea

peripheral edema, neck vein distension, hepatomegaly, ascites, palpitation, chest pain

Ventricular & supraventricular arrhythmias

Conduction system abnormalities, thromboembolism

Sudden death or heart failure-related death

 

5. 치료

Heart failure와 동일하게 치료

- Avoidance of excessive dietary sodium

- Beta-blocking drugs and ACE inhibitors/angiotensin receptor blockers (ARBs)

- Diuretics

- Aldosterone antagonists (spironolactone and eplerenone)

- Ventricular assist device or cardiac transplantation

- 항응고제 (systemic embolism의 감소)

 

 

 

반응형

WRITTEN BY
분홍오리
배우고 싶고 나누고 싶은 밍밍이 건강, 의학 지식과 정보를 공유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