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정의

- 34주 미만의 미숙아에서 호발하는 질환으로, 뇌실막하 종자 바탕질 (subependymal germinal matrix)에서 출혈이 시작되며 (germinal matrix hemorrhage, GMH), 뇌실 내 (intraventricular hemorrhage, IVH) 그리고 심한 경우 뇌 실질까지 출혈이 진행될 수 있다.

- 발생 빈도와 출혈 정도는 재태주령 및 출생 체중과 역비례한다. 

- 출생 1일 미만에 50%, 2일까지 75%, 그리고 3일까지 90% 발생한다. 자궁 내에서 발생하기도 하고, 7일 이후에 발생하는 지발형인 경우에 중증 출형의 빈도는 감소한다. 


2. 위험 요소

- 초극소저체중 출생아, 산모의 진통, 주산기 가사, 소생술, 기흉, 인공환기, 경련, 고혈압, 뇌혈류를 증가시키는 혈관 내 요인들이 위험요소로 작용한다.


3. 뇌실 내 출혈의 병태생리

- 혈관 내 요인 : 허혈된 뒤에 재관류 되거나, 뇌혈류의 과도한 변화, 뇌혈류의 증가 (고혈압, 빈혈, 과탄산혈증) 또는 뇌 정맥압의 증가에서 뇌손상이 일어난다.

- 혈관 요인 : germinal matrix의 모세 혈관은 비교적 약한 혈관이어 손상받기 쉽다.

- 혈관외 요인 : 미숙아이므로 혈관 외 조직의 지지력이 부족하며, 섬유소 용해활성도 (fibrinolytic activity)가 과도한 것도 한 몫을 한다.


4. 주요 후유증

- 측뇌실 출혈성 경색 (periventricular hemorrhagic infarction, PVHI)과 출혈 후 수두증 (posthemorrhagic hydrocephalus)가 발생할 수 있다.

- GMH/IVH에서 수일 혹은 수주에 걸쳐 뇌실 확장이 발생한다. 출혈로 인한 거미막염 (arachnoiditis)로 뇌척수액의 흡수 부전, aqueduct, foramen of Magendie 혹은 Luschka의 혈전으로 인한 폐쇄가 그 원인이 된다. 이로 인ㅇ하여 수두증이 발생하면 압력 상승으로 인하여 측뇌실 주위부의 혈류 감소에 의해 저산소증 및 유리 철에 의한 산소 라디칼의 생성 증가로 인하여 뇌 손상이 이차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신생아는 아직 두개골이 융합되어 있지 않아 두위의 증가로 증상이 나타난다. 


5. 임상 양상

- 다량의 출혈이 있을 경우 혼수, 호흡 곤란, 무호흡, 발작, 제뇌 자세 (decerebrated position), 동공 고정, 이완성 사지 마비 등의 증상을 보일 수 있다.

- 이 외에도 대천문의 급격한 팽창, 대사성 산증 및 적혈구 용적율의 감소 등이 관찰될 수 있다.

- 신경학적 증상은 수 주에서 수 시간에 걸쳐서 천천히 나타난다. 의식 수준이 저하되며, 움직임의 둔화, 근육 긴장도의 저하, 비정상적으로 뻣뻣한 무릎 각도, 안구의 비정상적 움직임 혹은 고정이 관찰된다.

- 하지만 미숙아에서 GMH/IVH 가 있더라도 증상이 없는 경우가 50-68%에서 발견되고 있다.

- 갑자기 hematocrit이 떨어진다던지, 수혈을 하더라도 hematocrit이 증가되지 않는 경우 GMH/IVH를 의심해 보아야한다.


6.  진단

- 뇌 초음파 검사로 진단할 수 있다. 특히 위험요소가 높은 극소저체중 출생아와 조산아의 경우 출생 3일 이내에 그리고 1주일째 검사시 90%이상 진단 가능하다. 대천문이 열려 있기 때문에 초음파를 통해 뇌 영상을 얻을 수 있다. 

- 1주일까지 검사를 해서 뇌 출혈이 발견되지 않더라도 생후 1개월, 그리고 퇴원 시 초음파 검사를 시행해야 한다. 뇌실내 출혈이 발견될 경우 1주일마다 4주간 출혈 후 수두증의 발생 여부를 확인한다.

- CT나 MRI는 미숙아를 대상으로 하기 힘들다.


7. 뇌실내 출혈의 단계

- 4단계로 보통 나눈다.

1단계 : GMH without IVH

2단계 : IVH without ventricular dilatation

3단계 : IVH without ventricular dilatation

4단계 : IMH with parenchymal hemorrhage


8. 예방 및 치료

- 산전에 스테로이드를 투여하는 것은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 (RDS뿐)만이 아니라 뇌실내 출혈의 예방에 효과적이다. 

- 중증의 GMH/IVH의 예방에 indomethacin의 예방적 투여가 효과적이라는 보고가 있다.

- 고농도 수액은 천천히 주고, 저혈압과 고혈압을 예방해야한다. 초미숙아에서는 자극을 최소화해야한다.

- GMH/IVH 진단시 뇌관류압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고 혈압을 적절히 유지해아한다.

- 뇌실 확장의 정도에 따라서 치료 방침이 다른데, 1단계는 4주간 관찰하며, 2단계에서는 지속적으로 척수 천자를 하고 약물 요법을 한다. 3단계에서도 척수 천자와 뇌실 천자로 뇌 감압을 시도하고 ventriculoperitoneal shunt 수술을 할수도 있다. 4단계에서는 2단계의 치료를 지속하고 뇌실 크기의 증가가 없을 경우 향후 1년간 관찰한다.

- 요추 천자는 뇌척수액을 제거하여 뇌실 확장이 진행되는 것을 예방한다. 서서히 진행하는 communicating 형의 뇌실 확장에 효과적이다.  



반응형

WRITTEN BY
분홍오리
배우고 싶고 나누고 싶은 밍밍이 건강, 의학 지식과 정보를 공유합니다

,
반응형

<문제1>

 

생후 10시간된 신생아가 머리에 국소 부종을 보였다. 이는 출산 직후에는 관찰되지 않던 것으로, 부종은 두개골 하나의 표면에 국한되어 있었다. 부종은 박동성이 느껴지지 않았고, 두개골에 움푹 파인 곳은 없었으며 두피의 색깔 변화도 관찰되지 않았다. 가장 가능성있는 진단은 무엇인가?

 

1. 두혈종

2. 산류

3. 뇌막탈출증

4. 두개내출혈

5. 억압된 두개골절

 

정답은 무엇일까요?

 

<> 1

<해설>

 

1번 보기에 대한 해설

환아의 증상은 두혈종의 전형적인 증상이다. 두혈종(cephalohematoma)subperiosteal hemorrhage, 한쪽 두개골의 표면에만 국한되어있다. 혈종을 둘러싸는 두피에는 색깔 변화가 없으며 부종은 출산후 시간이 지나서야만 고나찰할 있는데 이는 subperiosteal bleeding 매우 천천히 일어나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경우 어떠한 치료도 필요로 하지 않고 사이즈에 따라서 다르기는 하지만 자연적으로 2주에서 3 이내에 재흡수된다. 드물게, 고빌리루빈혈증으로 인해서 광선치료가 필요할 수도 있다.

 

2번 보기에 대한 해설

산류는 두피가 diffuse하게 부으며 점상 출혈을 보이는 것을 말한다. 이는 주로 두위분만시에 나타나고, midline, suture line을 넘어서 나타날 수 있다.

 

3번 보기에 대한 해설

Cranial meningocele은 박동성이 느껴지며 환아가 울 때 압력이 더 세진다. 또한 roentgenographic evidence of bony defects 보인다.

 

4번 보기에 대한 해설

신생아에서 두개내출혈은 무호흡, 창백함, 청색증, 잘 빨지 못함, abnormal eye signs, high-pitched cry, muscular twitching, convulsions, 근력 저하와 마비, hematocrit의 감소, 대사성 산증, 쇼크 등으로 나타난다. Fontanel은 팽팽하거나 튀어나와 있을 수 있으나, 두피의 부종은 일어나지 않는다.

 

5번 보기에 대한 해설

Depressed fractures calvarium 움푹 들어가는 것이다. 이는 주로 forcep delivery fetal head compression 합병증이다. Skull fracture 있을 경우 cephalohematoma 생길 있지만, 경우 fracture 주로 linear하고 움푹 들어가있지 않다.

 

<문제 2>

 

생후 이틀된 아이가 경련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신체 검진상 아이는 숫구멍이 팽창되어있었고, 국소신경징후를 보였다. 아이의 체온은 37, 맥박은 180이었고, 모세혈관 재충만시간은 2초를 넘겼다. 혈액 검사에서 혈색소수치는 12g/dL였다. 숫구멍을 통한 초음파 검사상에서는 배반기질, 가츨 뇌실, 뇌 실질조직을 포함하는 뇌출혈이 관찰되었다. 이 환아의 상태에 가장 주요한 위험인자는 무엇인가?

 

1. 미숙아

2. 난산

3. 산전감염

4. 선천선 기형

5. 거대아

 

정답은 무엇일까요?

 

<정답> 1

 

<해설>

 

1번 보기에 대한 해설

환아는 4도 뇌실내출혈, Grade 4 intraventricular hemorrhage (IVH} 확률이 가장 높다. Grade 4 intraventricular hemorrhage (IVH} germinal matrix 출혈로 인해 발생하며 미숙아와 저체중아, low-birth-weight (LBW} infants에서 호발한다. 연구 결과 IVH 발생 빈도는 출생 체중이 증가함에 따라 비례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출생 체중이 적을수록, IVH 일어날 확률이 높은 것이다. Vascular perfusion injury 노출되는 역시 IVH 관련이 있다. 예시로는 (1) hypoxic or ischemic episodes, (2) hypotension, (3) reperfusion of damaged vessels, (4) increased venous pressure, (5) abrupt changes in cerebral flow 등이 해당된다. 환아는 창백하고 청색증을 보이고 저혈압, 경련, 국소 신경학적 이상증상, 팽팽하거나 팽창된 숫구멍, 무호흡, 서맥 등의 증상을 보일 있다.하지만, 많은 경우 무증상인 경우가 많고 따라서 위험인자가 있는 모든 신생아에게 transfontanel ultrasound 하는 것이 권고된다. IVH 출혈의 심각도에 따라 4가지 단계로 구분된다. 장기적 합병증으로는 운동과 지적능력장애가 있고, 이는 3도나 4도의 심각한 IVH에서 관찰된다.

 

나머지 보기에 대한 해설

Pelvic dystocia, prenatal infections, congenital anomalies, macrosomia IVH 직접적인 위험인자로 없다.

 

반응형

WRITTEN BY
분홍오리
배우고 싶고 나누고 싶은 밍밍이 건강, 의학 지식과 정보를 공유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