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염색체 이상 증후군에는 다양한 종류가 있지만, 그중에서도 가장 흔한 세 가지, 즉 21번, 18번, 13번 염색체가 하나 더 있어서 생기는 다운증후군, 에드워드 증후군, 파타우 증후군에 대해서 알아보고자한다. 

염색체 이상은 전체 임신의 20%에서 발생하지만 실제 출산 빈도는 0.4%에 불과하다. 즉 다 유산되거나 죽는다는 말인데, 첫 3개월 자연 유산의 50%는 염색체 이상으로 인한 경우이다. (trisomy 16, 45X, 69 triploidy가 가장 많다.)

1. 다운 증후군

- 가장 흔한 염색체 이상으로, 21번 염색체가 3개이다. 생존 출생아의 600-800명 중 1명이로, 흔한 편이며, 특히 모체의 연령이 많을수록 발생빈도가 증가하는데 35세 이상일 경우 75명중 1명이 다운증후군이다. 

- 정상적인 46개의 염색체에 21이 추가된 비분리 형태가 가장 흔하다 (95%). 하지만 나머지 5%의 경우 전위 (translocation)에 의해서 발생하거나 mosaicism에 의해서 발생한다. 모자이시즘의 정상세포가 많을수록 표현형은 정상에 가깝고 특이한 임상양상과 지능장애가 경하다. 중요한 점은 전위형 다운증후군 t(14q21q)는 유전이 가능하다. 가능한 유전형으로 다른 것은  t(21q21q), t(15q21q), t(13q21q), (21q22q) 등이 있다.

- 대부분의 전위는 새로이 생기는 경우가 많지만 부모에서는 균형잡힌 전위여서 증상이 없다가 자녀에서 다운증후군이 생길 수 있으니 유전자 검사가 필요할 수 있다. 

- 임상 양상 

   지능저하, hypotonia,  단두증, 납작한 후두골, 안검열의 외상방 경사,양안 격리증, epicathic fold, 사시,Brush-field spot(백인종),작고 변형된 귀, 높은 구개궁, 납작 코, 목의 덧살, 혀 내밈, 짧고 넓은 손, Simian line(원선) 등의 신체적 특징을 보인다.

   손바닥의 atd 각(56도)이 크다.

    피문이상(ulnar loop), 제5지의  단일 굴곡선 만지증, 1st & 2nd 발가락 사이 넓다     

    다리에서는 Acetabular  & iliac angle의 감소가 특징적이다.

- 동반 이상 : 다운증후군은 동반되는 이상이 많으므로 이에 대한 평가와 치료가 중요하다.

1) 선천선 심장기형 (40%) : VSD(심실중격결손), atrioventricular canal defect (방실관 결손)

2) 소화기 질환 : 십이지장 폐쇄, 쇄항(항문이 안 뚫려있는 것), 배꼽 탈장, 선천거대결장증 (congenital megacolon)

3) 청력장애 : 신경성 난청, 잦은 중이염으로 인한 전도성 난청

4) T림프구의 기능이상으로 인해 감염, 특히 호흡기 감염이 빈번하게 일어난다.

5) 위식도역류, 원발성 폐고혈압, 폐쇄성 수면 중 무호흡 같은 호흡기계의 해부학적 이상이 있을 수 있다.

6) 백혈병의 발병률이 놓은데, AML은 12배, ALL은 15배 발병 위험이 더 높다. 

7) 나이가 들면 백내장, 당뇨병, 후천성 갑상선 질환, 백혈병, 간질, 알츠하이머성 치매 (2-3배), atlanto-axial sublation 등의 이환율이 증가한다. 

다만 모든 다운증후군 환아에서 다음의 증상을 보이는 것은 아니다. 

근력저하, 관절의 과굴절, 뒷목의 덧살, 안검열의 외상방 경사는 약 80%의 환아에서 관찰되며, 귀의 이상은 60%, 골반의 형성 장애는 70%, 그리고 다운증후군 환아의 특징으로 잘 알려진 원선 (simian line)도 약 45%에서밖에 관찰되지 않는다. 실제로 원선이 있다고 해서 다 다운증후군도 아니다... 내 동기중에도 원선이 있는 동기가 있지만 학교를 매우 잘 다니고있다 ㅋㅋㅋㅋㅋ

약한 모로 반사는 85%에서 나타나고 가장 흔한 특징, 90%의 다운증후군 환아에서 보이는 특징은 납작한 얼굴이다. 즉 얼굴을 보면 알 수 있다.


- 신생아기 다운 증후군 아기에서 나타날 수 있는 임상 증상

중추신경계 영역에서는 근력저하 (hypotonia), 성장지연 (developmental delay), poor Moro reflex가 나타날 수 있다.

얼굴과 두부 결함으로는 brachycephaly with flat occiput, flat face, upward slanted palpebral fissures, epicanthal folds, speckled irises, three fontanels, delayed fontanel closure, frontal sinus and midfacial hypoplasia, mild microcephaly, short hard palate, 작은 코, flat nasal bridge, 튀어나온혀, 벌려진 입, small dysplastic ears 등이 있다.

심혈관계 이상으로는 endocardial cushion defects, VSD(심실중격결손), ASD(심방중격결손), PDA, aberrant subclavian artery, pulmonary hypertension등이 있다.

근골격계 이상으로는 joint hyperflexibility (아이가 너무 유연한 경우), short neck, redundant skin, short metacarpals and phalanges, short 5th digit with clinodactyly, single transverse palmar crease(원선), wide gap between 1st and 2nd toes(첫번째 두번째 발가락 사이의 간격이 넓다), pelvic dysplasia(골반형성이상), two sterna manubrium ossification centers

소화기계 이상으로는 duodenal atresia, annular pancreas (고리 이자), TEF, Hirschprung disease (congenital megacolon, 선천거대결장증), imperforate anus (쇄항)

피부 이상으로는 cutis marmorta가 있다.


- 신생아기 이후에 나타날 수 있는 다운증후군의 임상 증상

신경정신계쪽으로는 발달 지연, 경련, 자폐증, 우울증, 알츠하이머병이 있을 수 잇다.

감각기관쪽으로는 선천성 또는 후천성 청력 난청 또는 청력 소실, 근시, 선천성 또는 후천성 백내장, 안진(nystagmus), 사시, 녹내장, 막힌 눈물관, serous otitis media가 있을 수 잇다.

심혈관계로는 후천적으로 mitral, tricuspid, or aortic regurgitation이 있을 수 있고 (심장 질환, 판막이 역류하는 병이다), endocarditis (심내막염)이 있을 수 있다.

근골격계로는 atlantoaxial instability, hip dysplasia, slipped capital femoral epiphyses, avascular hip necrosis, recurrent joint dislocations (반복적 관절 탈구) 가 있을 수 있다.

내분비계에서는 선천성 또는 후천성 갑상선 저하증, 당뇨, 불임, 비만, 갑상선 항진증이 있을 수 있다.

혈액학적으로는 transient lymphoproliferative syndromes, AML, ALL이 발생할 수 있다.

소화기계에서는 celiac disease, delayed tooth eruption가 있을 수 있으며 호흡기계에서는 obstructive sleep apnea, 잦은 감염 (부비동염, 비인두염, 폐렴) 등이 생길 수 있다.

피부이상으로는 hyperkeratosis, seborrea, xerosis 등이 있을 수 있다.


- 다운 증후군의 진단

임상적으로 의심 뒤 염색체 분석으로 확진을 내리게 된다. 요즘은 태어나기 전부터 산전 기형아 검사로 잡아내는 경우가 많다.

생화학적 검사로 백혈구의 acid, alkaline phosphatase, 혈청 serotonin, 적혈구의 G6PD 상승, Superoxide dusmutase가 정상의 1.5배 상승하는 소견을 볼 수 있다. 

산전검사에서는 초음파 검사에서 의심되는 소견이 있을 시 융모막 채취나 양수 천자를 하게 된다. 산모의 혈청 검사에서는 알파태아단백이 낮게 나오고, unconjugated estriol (E3)가 낮게 나오며 hCG가 높게 나오는 특징을 보인다. 


- 다운 증우군 환아의 추적관찰

당연히 염색체 이상이므로 치료는 없다. 다만 환아의 건강 유지를 위하여 발생할 수 있는 질환에 대해서 검진을 실시하는 편이 좋다.

심장질환 : 출생 당시 또는 생후 6개월 이내에 심초음파를 포함한 심장검진을 해야한다. 다운증후군의 경우 선천성 심장질환이 있을 확률이 50%나 되고 폐고혈압이 발생할 확률이 높기 때문에 심장질환에 대한 검사를 진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안과 질환 : 생후 6개월 이내에 안과 진찰을 받는 것이 좋은데 이는 약 15%에서 백내장이 발생하고 굴절이상은 약 반수에서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비인후과 진찰 : 다운증후군 환아의 경우 미국에서는 3개월까지, 한국에서는 8개월까지 tympanogram을 포함한 청력검사를 실시하도록 권고되는 데 이는 선천성 청력 손실의 위험이 있으며 50-70% 확률의 serous otitis media의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갑상선 질환 : 다운증후군 환아는 갑상샘 저하증에 대한 신생아 선별 검사와 주기적인 (6-12개월 간격의) 갑상선 저하증에 대한 검사를 필요로 한다. (T4, TSH를 검사한다)

이 외에도 정기 예방 접종을 실시하며 매 방문마다 환아가 정상적으로 성장을 하고 있는지 관찰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3세 이후에 목의 신전과 굴곡시 경부 측면 방사선 검사를 실시하여 atlantoaxial subluxation or instability가 없는지 확인한다.


반응형

WRITTEN BY
분홍오리
배우고 싶고 나누고 싶은 밍밍이 건강, 의학 지식과 정보를 공유합니다

,
반응형

38살 산모로부터 29주에 경막외 마취 상태에서 질식분만으로 태어난지 이틀된 아이가 잘 먹지 않고, 가장 마지막으로 먹였을 때 뱉어내서 내원하였다. 아이는 토하지는 않았으며, 아직까지 태변을 누지 않았다. 신체 검진에서 아이는 전반적으로 근긴장도가 떨어져있었고, 얼굴은 편평한고 귀는 아래쪽에 달려있었다. 아이의 양손에는 손금이 하나만 나 있었고, 배는 단단하였고 팽창되어있었다. 직장수지검사상에서 항문관이 좁은 편이었고, 수지검사 후 가스와 변이 배출되었다. 배의 단순촬영 결과 직장에는 공기가 보이지 않았고, 장은 늘어나 있었다. 원인은 무엇일까?

 

 

1. Thyroxine 농도 저하로 인한 변비

2. 장 발생시 신경능선 세포의 이동에서 문제

3. 어머니의 경막외 마취로 인한 ileus

4. 농축된 태변으로 인한 장 막힘

5. 장중첩증

 

정답은 무엇일까요?

 

 

 

 

 

 

 

<정답> 2

 

<해설>

 

2번 보기에 대한 해설

아이는 다운 증후군, trisomy 21의 특징을 보이고 있다. 히스슈프롱병은 주로 다른 결함과 동반되지는 않지만, Down syndrome과는 관련성이 높다. 히스슈프롱병은 태변이 나오지 않는 환아에서 의심해보아야하는데, 이는 정상 신생아의 99%는 이틀 이내, 48시간 이내에 태변을 배출하기 때문이다. 히스슈프롱병은 장내 신경이 정상적으로 발달되지 않아서 생기는 병으로, 주로 rectosigmoid region에 잘 생긴다. 문제가 생긴 부위는 이완할 수 없고 따라서 항상 수축되어있다. 잘 먹지 못하고, 배가 팽창되어있고, 태변을 배출하지 못하고, 담즙성 구토를 보이는 신생아에서는 히스슈프롱병을 의심해보아야한다. 직장수지검사를 하였을 때 squirt sign, 즉 손가락을 뺄 때 가스와 태변이 나오는 징후를 보일 수 있다.

 

이미지 상에서는 complete bowel obstruction을 볼 수 있다. 만약 천공이 의심되지 않는 경우에는 contrast enema로 막힌 부위를 알아낼 수 있다. 이 때 좁아진 부위에서 정상 장으로 이행하는 Tranzision zone을 관찰할 수 있는데, 정상 장은 늘어나있는 장이고 비정상은 좁아진 장이다. 진단의 gold standardrectal biopsyganglion cell이 없는 것을 확인하는 것이다. 치료는 신경이 결손된 부위의 장을 잘라내는 것이다.

 

Differentiating features of Hirsch sprung disease & meconium ileus

 

Hirschsprung disease

Meconium ileus

 

Associated

disorder

Down syndrome

Cystic fibrosis

 

Typical level of obstruction

Rectosigmoid

Ileum

Meconium

consistency

Normal

 

Inspissated

"Squirt sign"

Positive

Negative

 

보기 4번에 대한 해설

태변 배출이 지연될 때 생각해보아야할 다른 진단에는 meconium ileus도 있다. Meconium ileuscystic fibrosis의 가장 초기 징후일 수 있다. Cystic fibrosis(낭성 섬유종)Cl transport가 비정상적으로 이루어져 다수의 장기에 지속적으로 점액이 분비되게 되는 병이다. 이 경우 태변은 풀처럼 매우 끈적끈적하고 장 내에서 배출되기 힘든 형태가 되어 회장에 축적되게 되고, 이 경우 대장은 상대적으로 덜 사용되며 좁은 형태를 보인다(microolon). 히스슈프렁 병과는 달리, DRE상에서 태변이 배출되지 않는다. Meconium ileus는 다운 증후군과도 더욱 관련이 없으므로 이 증례에서 meconium ileus는 적절한 답이 되지 못한다.

 

보기 1번에 대한 해설

다운증후군은 선천성 갑상선 저하증과도 관련이 되어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95%) 갑상선 저하증 신생아는 신생아기에 증상이 없는데, 이는 어머니의 thyroxine이 태반을 거쳐 아이에게 전달되기 때문이다. 변비는 이후에 발생하는 증상이다. 게다가, 환아의 DRE 검사 소견은 선천성 갑상선 저하증 환아의 특징적인 소견으로 볼 수 없다.

 

보기 3번에 대한 해설

Magnesium sulfate, opiates, ganglionic blocking agaents와 같은 일부 약물이 분만되기 전에 어머니에게 투여되는 경우 태변의 배출이 지연될 수 있다. 하지만 DRE 소견과 환아의 증상의 정도는 약물로 인한 증상으로 보기 힘들다.

 

보기 5번에 대한 해설

장충첩증은 장이 막히는 가장 흔한 요인으로, 6-36개월 사이의 환아에게 잘 발생한다. 증상은 간헐적인 심한 복통으로 나타난다. 이 병은 출생시에 태변 배출이 지연되는 것과는 관련이 적기 때문에 진단으로는 부적절하다.

 

반응형

WRITTEN BY
분홍오리
배우고 싶고 나누고 싶은 밍밍이 건강, 의학 지식과 정보를 공유합니다

,
반응형

<다운증후군>

 

1. 임신 제 1분기

먼저 목덜미 두께 측정 (NT 3.5 mm이상 )하고, 동시에 혈청검사를 시행한다.

-> 만약 위의 검사에서 기형이 의심될시 정밀 초음파 검사 (targeted US) 또는 유전자검사 (fetal karyotypng)를 시행할 수 있다.

임신 제 1분기의 혈청 검사는 materal serum hCG or free-beta-hCG, PAPP-A (pregnancy associated plasma protein A) 를 측정하는데, 임신 제 2분기에 측정하는 혈청 검사와는 다르다.

한가지 더 주의할 점은 double marker, 즉 materal serum hCG or free-beta-hCG, PAPP-A (pregnancy associated plasma protein A)는 임신 제 1분기에 모든 산모를 대상으로 실시하지만 그 외에 임신 제 2분기에 실시하는 triple, quad test는 35세 이상의 다운 증후군 아이를 낳을 확률이 높은 산모에게 권고된다.

 

2. 임신 제 2분기 : 임신부 혈청검사, 초음파 검사

혈청검사는 다중표지자 선별검사는 두 가지로 나뉜다.

 - triple test는 serum AFP, hCG, unconjugated estriol 세 가지를 측정하게 된다.

 - quad test는 serum AFP, hCG, unconjugated estriol, 즉 triple test에 inhibin A를 추가하여 총 4가지 항목을 측정하게된다.

 

만약 선별검사 양성인 경우, 양수천자를 시행한다.

선별검사 양성이더라도 다운증후군일 확률 6%이니 산모에게 너무 겁을 주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3. 초음파 소견

- 제 1분기의 초음파 소견은 NT(neural translucency) 증가와 코뼈가 안보이는 것이다. (nasal bone absent)

- 제 2분기의 초음파 소견은 echogenic bowel, shortened extremity, intracranial calcification, renal pelvis dilatation, clinodactyly, brachycephaly, flat faces, widened iliac angle이다.

 

<신경관결손>

1. 정의

척추가 태생기동안 융합이 불완전하여 발생한 척추 이분증으로, 그 종류는 anencephaly, spina bifida, cephalocele 등이 있다.

 

2. 위험인자

알려진 대표적인 위험인자로는 multifactorial inheritance (MTHFR gene mutation), 1형 당뇨, 고체온, 항경련제 (valproic acid, carbamazepine)등이 있다.

 - 신경관 결손을 동반하는 유전 증후군은 Meckel-Gruber, Roberts-SC phocomelia, HARDE 등이 있다.

 

3. 예방 : NTD 위험성이 있는 경우 4mg의 엽산 복용. 일반 임산부는 400 ug의엽산을 복용한다.

위험성이 있는 산모는 과거에 신경관 결손 아이를 낳았던 산모 외에도 항간질약 등 folic acid 합성/흡수를 저해하는 약물을 복용하는 산모도 포함된다.

 

4. 선별검사

AFP는 임신 초기에 태하의 난황낭(yolk sac)에서, 후기에는 태아의 소화관과 간에서 생성된다.

AFP는 태아의 혈청과 양수에서 13주까지 급격하게 진행하다가 이후 급격히 감소한다.

모체 혈청에서는 임신 12주 이후에 임신 주수에 따라 증가하고, 특히 open neural tube defect에서 증가한다.

따라서 모체 혈청에서의 AFP 검사는 임신 15-20주 사이에 이루어진다.

중앙값의 배수인 MoM으로 보고한다.

체중, 인종, 당뇨병 유무, 임신 주수, 태아의 수에 따라 AFP 값이 달라진다.

상한 기준치 2.0, 2.5 MoM을 이용한다.

 

태아단백이 증가된 경우는 초음파검사를 통해 임신주수, 태아생존여부 (죽어도 AFP 높아짐), 태아 수 등을 확인!

2.5-3.5 MoM 이상이면 다시확인해야한다.

3.5 이상일시 다시확인 필요 없다.

 

* 원인 불명으로 태아단백이 증가한 경우는 저체중, 양수과소증, 태반조기박리, 태아사망 등 불량한 주산기 예후 등을 생각해볼 수 잇다.

 

5. 다음 검사

- 만일 선별검사에서 neural tube defect가 의심되는 경우에는 정밀 초음파 검사를 시행해 볼 수 있다. 이를 통해  무뇌아, 두부결함, 척추결함을 진단할 수 있다. 이 때 초음파에서 보이는 특징적인 사인들은 lemon sign, decreased BPD, ventriculomegaly, obliteration of cisterna magna, banana sign 등이 있다.

- 확진을 위해 양수내 AFP와 핵형 분석 위해 양수천자를 시행할 수 있고 (15-20주), 이 때 acetylcholine esterase 검사를 시행한다.

 

6. 관리

무뇌아는 뇌가 없으므로 생존 가능성이 없다고 보는 것이 맞다. 따라서 무뇌아가 확실시될 시 (초음파에서 보인다.) 임신 중절, 즉 유산을 하게 된다.

태아 척추의 단일기형일시 다른 과와의 연계하에 관리하게된다.

만삭 분만이 원칙이고, 뇌실 확장이 급격히 진행되면 그 전에 분만을 해야한다.

그리고 한 번 무뇌아를 뱄던 산모는 그 다음 임신에 엽산을 다른 산모가 먹는 양의 10배를 먹도록 권고된다.

이 때 권고되는 엽산 섭취량은 4mg이다.

 

 

 

반응형

WRITTEN BY
분홍오리
배우고 싶고 나누고 싶은 밍밍이 건강, 의학 지식과 정보를 공유합니다

,